최태원 "AI 없인 제조업 생존도 위태... 10년 후 상당 부분 퇴출될 것"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SK그룹 회장)이 국내 제조업이 지난 10년간 제자리걸음을 반복하며 구조적 노후화에 직면했다고 진단하며, "AI를 활용해 제조업을 재건하지 못한다면 향후 10년 내 산업의 상당 부분이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지난 17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기자간담회에서 최 회장은 "한국 제조업은 단순한 정체를 넘어 노쇠한 구조로 접어들고 있다"며 "제조시설 자체도 규모가 작고, 전반적으로 노후화돼 경쟁력을 잃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뉴스1
"AI가 유일한 돌파구... 日과의 데이터 협력 불가피"
최 회장은 이러한 위기에 대한 해법으로 AI(인공지능)를 지목했습니다. 그는 "지금 상황에서 우리의 희망은 AI뿐"이라며 "문제는 AI조차 중국이 더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는 점이며, 이 속도 차를 줄이기 위해선 일본과의 기술·데이터 협력이 불가피하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일본과의 공조를 언급하며 "대한민국이 지금 이대로 괜찮은지 묻는다면, 아니다. 그렇다면 이제껏 해보지 않았던 다른 선택지를 모색해야 하고, 그중 하나가 한일 경제공동체라는 새로운 구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제는 대한민국 혼자 감당하기 어려운 글로벌 문제가 곳곳에 존재한다"고 부연했습니다.
"APEC은 기회... 관세·AI·반도체 다뤄야"
뉴스1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드러냈습니다.
최 회장은 "행사의 물리적인 준비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며 "다만 실제 회의를 통해 어떤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느냐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이 더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미국과의 관세 문제가 APEC을 통해 좀 더 투명하게 정리될 수 있다면 좋겠고, AI 협력이나 반도체, 조선, 철강, 자동차 등에서도 의미 있는 공동 과제가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회문제 해결, 인센티브 없이는 한계... 새로운 실험 필요"
한편 최 회장은 지속적으로 강조해 온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기업의 역할'과 관련해, 인센티브 기반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언급했습니다.
뉴스1
그는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는 한 번도 본격적으로 시도된 적이 없어 작동 여부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한다"면서도 "지금처럼 정부가 세금을 걷거나 NGO, 개인 선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면 경제적 이익도 얻을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면 더 많은 참여자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이라며 "이 같은 개념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년 동안 축적돼 있고, 이를 다양한 현장에서 실험해 순기능을 살려낸다면 우리 사회도 더욱 성숙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