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9일(화)

이마트에서 나파밸리까지... 신세계의 와인 경영 20년

와인 대중화의 숨은 주역, 정용진 회장의 열정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의 와인에 대한 애정은 이제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정 회장의 와인 사랑은 그의 인스타그램을 통해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타그램에 자주 올라오는 와인 사진들은 그의 취향과 안목을 엿볼 수 있게 해주죠. 단순히 고가의 와인을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가격대와 산지의 와인을 즐기며 진정한 와인 애호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와인, 특별한 날의 사치품에서 일상의 음료로


정용진 회장의 와인에 대한 열정은 개인적인 취미 영역을 넘어 실질적인 사업 결정으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이마트를 통해 1만 원대 와인을 대거 선보이며 와인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 데 앞장섰는데요, 이는 와인을 '특별한 날에만 마시는 고급 주류'에서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음료'로 인식을 전환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신세계 그룹의 와인 사업은 2008년 신세계L&B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어 2009년에는 와인을 포함한 주류 전문점 '와인앤모어(Wine&More)'를 오픈했습니다.


이마트는 2008년부터 와인장터를 기획해 매년 행사를 개최해왔는데요, 2019년에는 칠레 와이너리에서 수입한 '도스코파스 까버네쇼비뇽' 와인을 파격적인 가격인 4900원에 판매하기도 했습니다.


기존 이미지


이 저렴한 가격이 화제가 되면서 해당 와인은 당시 일주일 동안 하루 평균 약 1만6000병이 판매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저가 와인의 연간 판매량이 8만병도 되지 않았던 시절에 이룬 놀라운 성과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신세계L&B는 법인 설립 10년 만인 2018년에 국내 1위 와인업체로 성장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한국의 와인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


정용진 회장의 와인에 대한 진정성은 그의 사업적 결정에서도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기존 이미지


단순히 트렌드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즐기는 와인 문화를 한국 소비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하는 의지가 엿보이는데요, 특히 저렴한 가격대의 품질 좋은 와인을 소개하며 국내 와인 대중화와 데일리 와인 보급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인지 최근 한국의 와인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한국 수입와인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에는 453,151헥토리터, 금액으로는 443,020,734달러의 와인이 수입되었으며, 병수로는 61,753,555병에 달합니다. 이는 대한민국 국민 1인당 적어도 한 병 이상의 와인을 소비한 셈인데요. 2024년 와인 수입이 전년보다 다소 주춤했지만, 5년 전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사진 제공 = 이마트사진 제공 = 이마트


이러한 성장 배경에는 정용진 회장과 같은 와인 애호가들의 노력이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와인 시장으로의 도약


정용진 회장의 와인 사랑은 국내 시장을 넘어 글로벌 사업으로도 확장되었습니다.


신세계그룹은 2022년  미국 100% 자회사인 스타필드 프라퍼티스를 통해 미국 나파밸리의 명품 와이너리 '쉐이퍼빈야드'의 지분 100%와 부동산을 약 2996억원(2억5000만달러)에 인수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쉐이퍼빈야드는 나파밸리를 대표하는 최고급 와인 '힐사이드 셀렉트'를 비롯한 5개의 럭셔리 와인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약 60만평 규모의 포도밭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는 정 회장의 와인에 대한 안목과 사업적 비전이 결합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와인 소비 트렌드 변화 주도


기존 이미지


정용진 회장의 와인에 대한 개인적 애정은 이제 신세계그룹의 사업 다각화와 와인 대중화라는 더 큰 흐름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와인부터 초저가 와인까지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한국 와인 시장의 성장 대중화를 이끌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취미가 사업이 되고, 그 사업이 시장을 변화시키는 흥미로운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