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제조 AI, 중국이 최대 위협... 일본과 손잡아야"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제조 AI 분야에서 우리에게 가장 큰 위협은 중국"이라며 "일본과 협력해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18일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열린 대한상의 하계포럼 '모두의 AI, 우리의 AI' 토크쇼에 참석한 최 회장은 "중국보다 우수해야 우리 제조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왼쪽은 카카오 정신아 대표이사, 오른쪽은 최태원 SK그룹 회장(대한상의 회장) /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그는 "건강한 AI를 만들려면 양질의 데이터, 즉 좋은 '밥'을 먹여야 하는데, 한국은 제조 AI 데이터가 풍부한 나라"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문제는 경쟁인데, 중국은 한국보다 더 방대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며 "그들의 학습 능력이 빨라지면 우리 제조업에 큰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일본도 상당한 제조 AI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 교환하고 함께 학습한다면 더 뛰어난 AI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습니다.
AI를 직접 활용하고 있다는 최 회장은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검증하거나 연설문을 작성할 때 AI가 전혀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줘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AI, 이제는 일상... 활용 늘수록 '데이터 신뢰' 고민도 함께
정신아 카카오 대표도 "회사에서 복잡한 문제를 리서치하고 정리하는 데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AI가 동료처럼 느껴지는 시점이 올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다만 그는 "자주 쓰다 보니 이 AI 모델이 내가 원하는 방향의 지식을 정확히 학습하고 있는지, 회사 내부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진 않을지 등 불안과 고민도 커진다"고 덧붙였습니다.
정 대표는 "최근 메타가 데이터 처리 스타트업에 대규모 투자를 한 사례는 데이터가 AI 시대의 핵심 자원임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AI 공장장, 박사 2명 몫"... 지역 중소기업도 전환 중
한편 이날 토크쇼에서는 AI 도입을 통해 눈에 띄는 변화를 이뤄낸 지역 제조기업 사례도 소개됐습니다. 한 지방 기업인은 "사천 공장에 AI 공장장을 도입했는데, 처음엔 반신반의했지만 지금은 박사급 직원 2명 이상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며 "수십 ㎞ 떨어진 공장을 원격 제어하는 디지털 트윈도 도입하려 한다"고 밝혔습니다.
박만헌 CFA 부사장은 "처음엔 공정에 로봇을 도입했지만 많은 비용이 들었고, 이후 AI 솔루션을 접목하면서 소프트웨어와 전문가 없이도 로봇 배치와 운영이 가능해져 매년 수억 원을 절감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제공=대한상공회의소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제조 AI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서 공장의 두뇌 역할을 맡는 것"이라며 "AI가 공정을 분석해 가동을 유연하게 조절하고 생산성을 극대화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과거에는 박사급 연구원 2명이 한 달 걸릴 작업을, AI 기술을 활용하면 30분이면 충분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대한상의 AI 토크쇼는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2회째입니다. AI 시대를 맞이해 앞으로도 매년 하계포럼을 통해 전국의 최고경영자(CEO)들과 함께 AI 토크쇼에서 공감대를 넓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대한상의는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