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AI, '눈치 빠른' 인공지능으로 진화 예고
삼성전자가 자사의 인공지능 서비스 '갤럭시 AI'를 사용자의 상황을 스스로 파악하고 필요한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눈치 빠른' AI로 발전시킬 계획을 밝혔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복잡한 명령어를 입력할 필요 없이 더욱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AI와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지난 9일(현지 시각) 박지선 삼성전자 MX사업부 랭귀지(언어) AI팀 부사장은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개최된 '갤럭시 Z 폴드·플립7' 신제품 관련 기자 간담회에서 "앞으로는 사용자가 수고스럽게 일일이 타이핑할 필요 없이 눈 앞에 펼쳐진 장면을 AI와 실시간으로 공유하면서 친구와 대화하듯 AI와 소통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지선 삼성전자 MX사업부 랭귀지(언어) AI팀 부사장 / 사진 제공 = 삼성전자
멀티모달 AI 기술로 사용자 경험 혁신
삼성전자는 갤럭시 AI의 멀티모달 AI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들이 인공지능을 더욱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멀티모달 AI는 문자,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의미합니다.
현재 갤럭시 AI의 '비전 AI' 기능은 이미 이러한 멀티모달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로 옷장을 보여주며 "오늘 날씨에 맞는 옷을 추천해줘"라고 요청하면, AI가 실시간 날씨 정보와 카메라로 인식한 의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절한 코디를 제안해 줍니다.
박지선 삼성전자 MX사업부 랭귀지(언어) AI팀 부사장 / 사진 제공 = 삼성전자
박 부사장은 "2017년에 출시한 빅스비 보이스와 빅스비 비전을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 개발을 이어온 결과 스마트폰에서 음성과 시각 정보의 종합적 처리가 가능해진 것"이라며, "삼성전자가 그간 쌓아온 모바일 AI 기술 리더십에 더해, 퀄컴과 구글 등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업도 멀티모달 AI의 발전에 빼놓을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런던대학교와 삼성전자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AI 사용자의 45%는 이미 음성 명령을 자주 활용하고 있으며, 60%는 '스마트폰이 내 습관을 파악해서 알아서 해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표했습니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를 반영하여 삼성전자는 사용자의 의도와 사용 패턴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개인화된 AI 서비스를 개발 중입니다.
갤럭시 S25에서 선보인 '나우 브리프' 기능은 이러한 개인화된 AI의 초기 단계로,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학습하여 운동 계획이나 여행 일정 등에 맞는 정보를 미리 제공합니다.
사진 = 인사이트
박 부사장은 "멀티모달과 사용자의 의도를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AI가 앞으로 사용자 경험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AI가 개인화를 넘어 사용자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앰비언트 인텔리전스(Ambient Intelligence)'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박 부사장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워치, 링, 가전, TV 등 삼성이 보유한 다양한 갤럭시 기기 생태계까지 AI를 확장해 개인에 맞는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