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9일(화)

'케데헌' 글로벌 인기에 농심과 삼성이 조용히 웃고 있는 이유

한국 문화의 새로운 글로벌 앰배서더, '케데헌'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예상치 못한 수혜자들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농심과 삼성전자인데요. 이들 기업은 별도의 마케팅 비용 없이 글로벌 무대에서 엄청난 홍보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헌터스'넷플릭스 '케이팝 데몬헌터스'


지난 6월 20일 공개된 '케데헌'은 K팝 아이돌 그룹 '헌트릭스'의 악령 퇴치 활약을 그린 애니메이션으로, 미국, 캐나다, 독일, 포르투갈, 태국, 필리핀, 대만 등 40여 개국에서 넷플릭스 영화 부문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 작품은 일본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제작하고 미국 넷플릭스가 배급했지만 캐릭터는 물론 내용 전체에 한국의 문화와 음식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있는데요. 특히 농심 제품들이 오마주 형태로 등장해 전 세계 시청자들의 눈길을 사로잡았습니다.


의도치 않은 글로벌 마케팅의 승자, 농심


애니메이션 초반부, 주인공들이 공연을 앞두고 간식을 먹는 장면에서 농심 제품과 유사한 식품들이 대거 노출됩니다.


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새우깡인데요. 봉투에는 '매운 감자칩'이라고 표기되어 있지만, 과자의 모양은 명백히 새우깡을 연상시킵니다.


단발머리 캐릭터 조이가 봉투를 한 번에 찢어 새우깡처럼 생긴 과자를 맛있게 먹는 장면은 많은 시청자들의 기억에 남았습니다.


컵라면에는 더욱 직접적인 오마주가 담겨 있습니다. 극중 라면 브랜드명은 농심과 유사한 '동심'으로 표기되었으며, 제품명에는 한자로 귀신 '신(神)'자가 사용됐습니다.


실제 농심은 매울 '신(辛)'자를 사용하지만, 발음은 대표 제품인 신라면과 동일합니다. 또 라멘(Ramen)이 아닌 라면(Ramyeon)이라는 표기도 시청자들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Netflix '케이팝 데몬 헌터스'


넷플릭스도 영화 공개를 앞두고 미국 뉴욕시에서 컵라면 시식 행사를 개최하며 한국 라면 문화를 적극 홍보하기도 했습니다.


농심 측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PPL 광고나 홍보 관련 계약을 맺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 넷플릭스가 뉴욕에서 진행한 컵라면 시식 행사에도 별도의 협조 요청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처럼 의도하지 않은 글로벌 노출이 오히려 더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가져오며 "공짜로 광고했다"는 평가까지 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전략적 '케데헌' 활용


YouTube


농심이 우연한 기회를 잡았다면, 삼성전자는 '케데헌'의 인기를 전략적으로 활용한 듯 보입니다.


'케데헌'에 나오는 눈3개 달린 까치 캐릭터가 인기를 끌먼서, 갤릭시 후면 카메라 3개 이미지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해외팬 중심으로 '갤럭시 버드'라는 애칭으로 불렸는데요.


이를 간파한 듯, 삼성전자는 갤럭시Z폴드7 공개를 앞두고 최근 '케데헌'과의 콜라보 콘텐츠를 공개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지난 8일 밤 12시(한국 시간) 삼성전자는 공식 SNS 계정에 '케데헌'에 등장하는 호랑이와 까치 캐릭터로 만든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인사이트Youtube 'Samsung'


해당 영상에서 삼성전자는 갤럭시Z폴드7의 후면 트리플 카메라를 소재로 갓을 쓴 까치의 눈 3개를 형상화했는데요. 이번 갤럭시Z폴드7은 폴더블폰 최초로 갤럭시S 울트라에만 탑재됐던 2억 화소 카메라를 탑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더욱 관심을 끌었습니다.


영상 속 호랑이는 '새로운 갤럭시 폴더블이 온다'(The new galaxy foldable is coming)는 메시지를 입에 물고 있다가 드러내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삼성전자는 해당 영상과 함께 "까치가 갤럭시 언팩을 위해 차려 입었다"는 메시지를 남겼는데요. 이 영상에 해외 팬들은 "나는 삼성 팬", "나는 내 삼성폰을 사랑한다" 등 큰 호응을 나타냈습니다. 또 국내 누리꾼들도 "삼성 감다살", "삼성 빠르네", "삼성 일 잘한다", "물에서 노 잘 젓네", "까치 눈 카메라 되는거 너무 귀엽다", "갤럭시 버드 맞네", "콜라보 가즈아", "굿즈 내놔라" 등 뜨거운 반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당 영상은 K팝 데몬헌터스가 온라인 상에서 바이럴이 많이 된다고 판단해 넷플릭스와 협업해 제작한 홍보 영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YouTube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


'케데헌'의 인기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의 성공을 넘어섰습니다.


영화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도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200'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극 중 아이돌 그룹 '사자 보이즈'가 부른 곡 '유어 아이돌'(Your Idol)은 지난 4일 스포티파이 '데일리 톱 송' 미국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케데헌'은 한국 문화와 기업들을 자연스럽게 세계에 알리는 새로운 글로벌 앰배서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헌터스'넷플릭스 '케이팝 데몬헌터스'


농심은 의도치 않은 노출로, 삼성전자는 전략적인 협업을 통해 각각 다른 방식으로 '케데헌' 열풍의 수혜를 입고 있는데요.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이 커질수록 한국 기업들의 해외 인지도와 브랜드 가치도 함께 상승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케데헌'의 성공은 단순한 콘텐츠의 인기를 넘어 한국 문화와 기업의 글로벌 위상을 높이는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