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자사주 3.9조원 추가 매입...10조원 계획 마무리
삼성전자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대규모 자사주 매입 계획의 마지막 단계에 돌입했다.
지난 8일 삼성전자는 총 3조9119억 원 규모의 자기주식 취득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결정으로 지난해 11월 발표한 총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이 완료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뉴스1
취득 예정 주식은 보통주 5688만8092주(3조5000억 원)와 우선주 783만4553주(4000억 원)로, 주당 취득 단가는 전날 종가 기준 보통주 6만1700원, 우선주 5만1300원이다.
삼성전자는 9일부터 10월 8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해당 주식을 장내 매수할 예정이다.
이번에 매입하는 자사주 중 2조8119억 원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소각에, 1조1000억 원은 임직원 상여 지급 등 주식기준보상에 활용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자사주 소각을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직원 주식보상 프로그램 확대...인재 유치 강화
삼성전자는 주식기준보상 목적으로 취득하는 자기주식을 임직원에 대한 연간 성과인센티브(OPI), 임원 장기성과보상(LTI), 직원 핵심인력 인센티브 지급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는 글로벌 기업들이 핵심 인재 확보와 유지를 위해 도입하고 있는 보상 체계를 강화하는 조치로 해석된다.
사진=인사이트
특히 올해 1월 임원을 대상으로 2024년 OPI에 대해 주식기준 보상 프로그램을 적용하기로 약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에는 임원 개인별 선택 비중(직급별 50∼100%)과 주가에 따라 확정되는 자기주식을 지급할 예정이다.
재직 임원에 대해서는 지급일로부터 1∼2년간 주식 매도를 제한하는 조건도 포함된다.
주식기준보상은 임직원들에게 회사의 장기적 성장과 주가 상승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동시에, 주주와 경영진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는 효과가 있다.
글로벌 IT 기업들 사이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보상 방식으로, 삼성전자도 이를 통해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주주가치 제고 위한 장기 전략의 일환
삼성전자의 이번 자사주 매입은 지난해 11월 발표한 주주가치 제고 정책의 연장선이다.
당시 삼성전자는 1년간 총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를 분할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으며, 이번 3조9000억 원 규모의 추가 매입으로 해당 계획이 완료됐다.
자사주 매입과 소각은 유통주식 수를 줄여 주당 가치를 높이는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매입한 자사주 중 상당 부분을 소각하겠다고 밝혀, 주주가치 제고에 대한 의지를 분명히 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회복세와 함께 삼성전자의 주주가치 제고 노력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주주들 사이에서 '7만전자' 등의 기대감의 목소리도 한껏 높아지고 있다.
이번 조치가 주가 안정화와 함께 장기적인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할 거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