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HBM 호조에 '깜짝 실적'...영업이익 7조 원 돌파
SK하이닉스가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의 강세를 바탕으로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실적 개선을 이뤄내며 반도체 업황 반등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4일 공시를 통해 2025년 1분기 영업이익이 7조 4,405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157.8% 증가한 수치다.
매출은 17조 6,391억 원으로 41.9% 늘었고, 순이익은 8조 1,082억 원으로 무려 323% 급증했다.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의 모습 / 뉴스1
이번 실적은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이며, 전체 분기 기준으로는 지난해 4분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영업이익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부뿐 아니라, 가전·모바일을 포함한 전사 실적을도 앞질렀다는 점에서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HBM3E 실적 견인...2분기에도 상승세 지속 전망
SK하이닉스는 "계절적 비수기임에도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라고 평가하며, "사업 체질 개선에 매진해 차별화된 실적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HBM 제품군의 실적 기여도가 두드러졌다는 설명이다.
회사 측은 "올해 HBM 매출은 전년 대비 약 2배 성장할 것"이라며, "2분기부터는 5세대 제품인 HBM3E 12단이 전체 HBM3E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뉴스1
이는 생성형 AI 시장 확대와 함께 고대역폭 메모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관세 리스크 대응..."AI 서버 영향 제한적"
한편,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대중국 반도체 관세 강화 움직임과 관련해 SK하이닉스는 "AI 서버는 상대적으로 관세 영향이 제한적"이라며,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외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의 이번 실적은 단순한 회복세를 넘어, 메모리 반도체 산업 전반의 구조적 전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향후 행보에도 무게가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