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동이로 자라는 것, 신경인지와 정신건강에 긍정적 효과
최근 연구에 따르면 외동으로 자라는 것이 신경인지 및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난 21일(현지 시간) 의학전문매체 메디컬엑스프레스는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발표된 중국 연구진의 논문을 소개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논문의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족 규모가 줄어들고 있으며, 한 자녀만 낳는 부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형제자매가 없는 외동아의 두뇌와 행동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졌다.
기존 연구들은 외동아의 성장 환경이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지만, 그 결과는 일관되지 않았다.
일부 연구는 외동아들이 학업 성취도가 높고 사회성이 뛰어나다고 보고한 반면, 다른 연구들은 부정적인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 톈진대 의대 연구진은 외동 자녀의 뇌 발달과 행동 유형을 심층 분석했다.
연구진은 '중국영상유전학(CHIMGEN)' 데이터에서 외동 자녀와 형제자매가 있는 사람을 짝지어 2397쌍을 선정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를 통해 GWS(형제자매 없이 성장하는 것)가 성인기의 뇌 구조, 기능, 연결성, 인지, 성격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 GWS는 언어 섬유 완전성과 소뇌 부피 증가와 관련이 있는 반면 운동 섬유 완전성과 대뇌 부피 감소와 연관되어 있었다.
이는 외동아들이 언어 능력과 학습능력은 뛰어나지만 신체활동력과 자발성은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러한 영향이 주로 외동아들이 자라는 환경과 노출되지 않는 자극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어린이에게 다양한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는 개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개입이 어린이의 뇌 기능과 정신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어린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 더 나은 행동 양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