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종묘 정전, 5년간의 대대적 보수 공사 마치고 재개방
조선 왕실의 사당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정전'이 5년간의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마치고 다시 시민 곁으로 돌아왔다.
지난 20일 국가유산청은 수리를 마친 정전을 공개하며 왕과 왕비의 신위를 원래 자리로 옮기는 '환안제'를 진행했다. 이 의식은 고종 대인 1870년 이후 무려 155년 만에 열린 것이다.
국가유산청
종묘는 1395년 조선 태조 이성계가 창건한 왕실의 제례 공간으로, 수도 한양과 함께 지어진 상징적 유산이다. 당시 정전은 7칸 규모로 지어졌으며, 세종 때 신실 부족 문제로 별묘 '영녕전'이 신설됐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정전은 1608년 광해군 대에 재건됐고, 이후 영조와 헌종 때에 걸쳐 증축을 반복하며 지금의 19칸 규모를 갖추게 됐다. 긴 세월 동안 정전은 조선 왕조의 권위와 제례 문화를 상징하는 핵심 건축물로 자리매김했다.
1985년 국보로 지정됐고, 1995년 종묘 전체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며 그 가치는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종묘 정전의 역사적 가치...대규모 보수 공사
복원 전 모습 / 국가유산청
하지만 건물 곳곳에 균열과 파손이 생기며 2020년부터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시작됐다. 지붕 해체 과정에서 예상보다 부재 상태가 나빠지면서 공사 범위도 확대됐다.
총 2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이번 복원은 약 7만 장의 수제 기와 교체, 하중 분산 구조 개선, 시멘트 제거 및 전통 전돌 설치 등으로 정전 본연의 위엄을 살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보수 기간 동안 덕수궁 구 선원전에 임시 봉안됐던 왕과 왕비의 신주는 이날 창덕궁을 출발해 광화문, 세종대로, 종로를 지나 종묘까지 총 3.5km를 행진했다. 이 행렬에는 가마 28기와 말 7필, 시민 1,100여 명이 참여해 장관을 이뤘다.
국가유산청
또한 수리 과정에서는 광해군 시기의 목재가 사용됐다는 점이 나이테 분석으로 밝혀졌고, 2023년에는 정전 11번째 방에서 상량문이 발견돼 역사적 의미를 더했다.
이번 재개방을 기념해 오는 24일부터 다음 달까지 다양한 문화행사도 열린다. 종묘제례악 야간 공연, 왕비가 참여했던 국가 의례 재현, 특별전 '삼가 모시는 공간, 종묘', 그리고 6년 만에 일반 공개되는 종묘대제까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장엄한 무대가 펼쳐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