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 (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미래 차' 선점을 위해 협업을 시작했다.
두 기업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에서 첫 협업을 시작한다. 인포테인먼트란 운전과 길 안내 등 다양한 정보(인포메이션)와 오락거리(엔터테인먼트)의 통합시스템이다.
'인포테인먼트카 시대'에 발맞춰 미래 차 전환 과정에서 시스템 반도체를 만드는 삼성전자와 완성차 업체 현대차의 협업은 시너지 효과를 낳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7일 삼성전자는 현대차에 인포테인먼트용 프로세서인 '엑시노스 오토 V920'을 2025년부터 공급한다고 밝혔다.
사진=인사이트
엑시노스 오토 V920은 삼성전자의 프리미엄 IVI용 프로세서다.
이전 세대보다 대폭 향상된 성능으로 운전자에게 실시간 운행정보는 물론 고화질 멀티미디어 재생, 고사양 게임 구동 같은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지원한다.
특히 이번 제품은 Arm의 최신 전장용 중앙처리장치 10개가 탑재된 데카코어 프로세서로 기존 대비 CPU 성능이 약 1.7배 향상됐다.
최신 그래픽 기술 기반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도 탑재해 이전 대비 2배 빨라진 그래픽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신 연산 코어를 적용해 신경망처리장치(NPU) 성능도 2.7배 향상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이를 활용하면 운전자 모니터링 기능을 통해 운전자 음성·상태를 감지하고, 주변을 더욱 빠르게 파악해 사용자에게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안정성 측면에서도 차량용 시스템의 안전 기준인 '에이실-B'를 지원해 차량 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시스템 오작동을 방지한다.
업계에서는 미래 차 시대의 핵심 분야 중 하나이자 반도체 분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분야에서 경쟁력을 끌어올릴 기회로 보고 있다.
이번 협력은 한국을 대표하는 두 대기업이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핵심 사업 분야가 맞물린 결과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인사이트
급성장하는 차량용 반도체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미래차 시대 대비에 나선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미래 비전이 맞물려 '윈-윈'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삼성전자가 현대차에 메모리반도체, 이미지 센서 등을 공급한 적은 있지만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용 분야에서의 협력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아직 탑재될 차종에 대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현대차는 완성체 업체가 단기간에 해결하기 어려운 기술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한때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완성차 제조에 차질을 겪은 현대차 입장에서는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두 가능한 삼성전자를 거래처로 둔 게 이익이 될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사진=인사이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020년 5월 단독 회동을 한 이래 여러 차례 만나면서 지속적으로 미래차 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해 왔다.
이에 다가오는 2025년, 두 대기업의 협력 작품에 대한 다양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소니와 혼다가 힘을 합쳐 미래 차 개발에 한창이다. 소니는 완성차업체 혼다와 함께 전기차 '아필라'를 공개했다.
혼다는 소니의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카'를 2025년 양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