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마약사범이 급증함에 따라 변사체에서 마약류가 검출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6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이 국민의힘 김웅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부검 사체에서 마약류가 검출된 건수는 총 69건으로 집계됐다.
2021년 43건에서 1년 사이 60.47% 늘었다.
지난해 6월 서울의 한 지하철 역사 내 화장실에서 발견돼 병원으로 후송됐으나 숨진 19세 고등학생의 몸에서 펜타닐이 검출되는 사건도 있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군의 사인은 '펜타닐 급성중독'으로 판명 났다.
펜타닐은 강력한 마약성 진통제로 극소량만으로도 강력한 환각효과 및 이상행동을 일으켜 일명 '좀비 마약'으로 불린다.
지난해 9월에는 19세 A군이 자신의 집 거실에서 엎드려 사망한 채 발견됐다. 부검 결과 그의 몸에서는 합성 대마 성분과 함께 치사 농도의 MDMA(일명 엑스터시)가 검출됐다.
최근 변사체에서 검출되는 마약의 종류 또한 다양해지는 양상이다. 지난해 처음으로 헤로인이 검출됐고, 2020년까지 한 번도 발견된 사례가 없었던 합성 대마는 2021년 이후 꾸준히 검출되고 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변사체에서 검출되는 마약의 종류는 필로폰이 48건으로 가장 많았고, 펜타닐이 7건으로 뒤를 이었다.
변사 사건에서 마약 검출 사례가 증가하는 것은 '심각한 마약 확산 신호'라는 게 전문가의 진단이다.
국과수는 "현재 미국에서 10대 사망률 1위가 펜타닐 중독으로 인한 사망"이라고 밝혔다.
이어 "값싼 중국산 원료 공급으로 다른 마약류에 비해 접근이 쉽다 보니 국내 유입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는데, 이것이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