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인사이트] 박상우 기자 = 군 당국이 24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대응해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 미사일을 발사했다.
이런 가운데 이날 우리 군은 실사거리 1,000km 상당의 현무-ⅡC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의 실사격 훈련을 처음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중앙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24일 군 당국이 발사한 현무-Ⅱ 미사일은 현재 실전 배치한 탄도미사일 가운데 가장 사거리가 긴 현무-ⅡC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24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대응해 동해상에서 합동 지·해·공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북한의 발사 약 1시간 50분 만인 오후 4시 25분부터 동해상에서 현무-Ⅱ 지대지미사일을 포함한 미사일을 발사해 즉각적 대응·응징능력과 의지를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합동 미사일 실사격 훈련은 북한의 도발 원점을 가상한 동해상의 표적을 향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지대지 미사일인 현무는 단거리탄도미사일인 현무-Ⅱ 계열과 순항미사일인 현무-Ⅲ 계열로 나뉜다.
이날 발사한 것으로 알려진 현무-ⅡC의 사거리는 800㎞로 알려졌다. 현무-ⅡA의 사거리는 300㎞, 현무-ⅡB는 500㎞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다만 현무-ⅡC의 사거리 800km는 사거리를 제한하는 한·미 미사일 지침을 의식해 낮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현무-ⅡC의 실제 사거리는 1000㎞에 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해당 지침은 지난해 5월 폐지됐다.
익명의 군 관계자는 매체에 "현무-ⅡC는 단분리와 재진입체(RV) 기술이 적용됐다"며 "적의 미사일 방어망을 뚫기 위해 상하와 좌우로 변칙적으로 움직이는 기동 능력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군이 맞대응 성격의 미사일 시험 발사와 기동 훈련 등 무력시위를 한 건 2017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