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인사이트] 권새나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 종료가 다가오자 과거 사용된 업무추진비(업추비)가 재조명되고 있다.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을 비롯한 주요 행정부처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정보공개법)에 따라 업추비 집행 내역을 공개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 10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1422일간 총 267억 3024만원의 업추비를 집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추비만 놓고보면 박근혜 전 대통령 때 비해 크게 증가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4년간 청와대는 '정책조정 및 현안 관련 간담회비 등'에 총 106억 4982만원을 사용했다.
이중 '관계기관(단체) 정책 협의비 등'에 71억 9298만원, '기타 민심청취 경비 등' 23억 1970만원, '전문가 자문·간담회비 등' 11억 3714만원이 쓰였다.
이밖에 '각계각층 경조화비 및 관람객 기념품비 등'은 101억 7311만원, '국내외 주요인사 초청행사비 등' 37억 8330만원이다.
'부서운영 지원 등 기타경비' 21억 2400만원의 세금도 업추비로 집행됐다. '부서운영 지원 등 기타경비' 등에 대해 청와대 자료는 각종 회의 준비 및 다과 구입 등 비용으로 설명해 왔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하루 평균치로 계산해 보면 '정책조정 및 현안 관련 간담회비 등'는 749만원이다.
이 가운데 '관계기관(단체) 정책 협의비 등)' 506만원, '기타 민심청취 경비 등' 163만원, '전문가 자문·간담회비 등'에는 80만원이 쓰였다.
또 '각계각층 경조화비 및 관람객 기념품비 등'은 715만원, '국내외 주요인사 초청행사비 등' 266만원, '부서운영 지원 등 기타경비'는 149만원 쓰인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전체 예산 및 집행액은 전 정부 때 보다 줄었다. 박근혜 대통령 재임 4년 동안 전체 청와대 업무지원 관련 예산은 연평균 240억원 정도였고, 이중 약 230억원이 집행됐다. 이에 비해 문재인 정부 청와대의 업추비·특활비·특경비 예산은 2018년 184억원이었고, 이 중 182억원이 집행됐다. 2019년에도 184억원의 예산이 편성돼 183억원이 집행됐다. 2020년에는 이 예산이 170억원, 집행액이 166억원으로 더 줄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