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무-2미사일 발사 장면 / 뉴스1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를 고각 발사했다.
이는 2018년 4월 천명한 모라토리엄(핵실험·ICBM 발사 유예) 협약의 명백한 파기다.
4년 만에 나온 북한의 협약 파기에 우리 군(軍) 가만있지 않았다. 북의 ICBM 발사 도발에 대응했다.
24일 오후 4시 25분부터 군은 동해상으로 적 도발 원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해 지·해·공 동시 탄착 개념을 적용한 실사격 미사일 합동 정밀타격훈련을 실시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이번 합동 실사격 정밀타격에는 사거리 300km 현무-2지대지 탄도미사일 1발, 에이태킴스(전술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 1발, 사거리 1000㎞ 해성-2 함대지미사일 1발, 공대지 JDAM(합동정밀직격탄) 2발이 동원됐다.
군의 이번 움직임은 꽤 큰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무-2 미사일의 용도 때문이다. 이 미사일은 유사시 북한의 주요 시설을 격파하고 대량응징보복(KMPR)의 핵심 무기다.
북한도 이를 알고 있는 만큼, '도발=응징' 메시지를 보냈다는 분석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합동참모본부는 "이번 사격훈련은 군의 정찰감시자산으로 적 도발 징후를 포착하고 지속 감시하면서 대공경계 및 방어태세를 강화한 가운데, 지·해·공 미사일 동시탄착(TOT) 개념을 적용한 합동 정밀타격"이라고 밝혔다.
이어 "“적 미사일 기지를 일거에 궤멸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실시됐다"며 "군이 북한의 군사동향을 24시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도발 시에는 지상, 해상, 공중에서 언제든지 도발 원점과 핵심시설 등을 정밀타격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를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한편 이번 훈련은 육·해·공이 하나 된 훈련이었다. 육군 미사일 부대, 해군 함정 그리고 공군 전투기 등이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