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인사이트] 박찬희 기자 = 서울에 사는 청년들은 다음 달부터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이외에도 청년을 위한 여러가지 정책들을 내놓았다.
지난 23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청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청년행복 프로젝트(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를 발표했다.
프로젝트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5년까지 청년에게 총 6조 3,000억 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한다.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 시절에 수립한 '2020 서울형 청년보장(7,136억 원)' 사업보다 8.8배 많은 규모다.
해당 프로젝트의 대표사업으로는 대중교통 이용요금 지원이 있다. 다음 달부터 만 19~24세 청년 15만 명에게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비례해 20%를 마일리지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연간 최대 10만 원을 지원한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하반기에는 만 19~39세 청년 8,000명에게 최대 40만 원의 이사비도 지원한다. 전월세 보증보험 가입 비용(10만 원) 지원도 올해 1,000명을 대상으로 시작한다.
또 저축액의 2배로 돌려주는 '희망두배 청년통장'도 문턱을 낮춰 지원대상을 넓힌다. 뿐만 아니라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주택도 2025년까지 5만5000가구 이상 공급할 계획이다.
이어 청년 일자리와 창업 생태계 구축, 진로 탐색 등을 위한 정책으로 청년취업사관학교 확대 방안도 발표했다. 서울시는 청년취업사관학교를 2025년까지 10곳 이상 조성해 기업 수요에 맞는 실무인재 총 1만 명을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시의회가 예산안을 통과시켜줘야 한다.
한편 지난해 오 시장은 2022년 시 예산 발표에서 '서울시 바로 세우기' 관련 민간귀탁 보조사업에서 832억원을 절감한 바 있다.
또 일부 사회기금이 비정상적으로 운영된 사례가 있다고 지적하며 시민단체 등 사회기금 수행단체에서 업무상 이해관계가 있는 기관에 기금을 투자할 경우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