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 뉴스1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윤 당선인이 이토록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으려는 이유는 뭘까. 이 의문에 윤 당선인 측은 '최순실-세월호 수사'와 관련이 있다고 귀띔했다.
23일 동아일보는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에게 전해 들은 이야기에 대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관계자는 어제(22일) 매체에 "윤 당선인은 최순길 게이트를 수사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세월호 7시간 행적도 수사했다"라며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논란을 비롯해 비서관, 부속실 등 청와대 내 층층 보고체계를 거치며 보고가 왜곡·지연되는 과정을 직접 확인했다"라고 전했다.
사진=인사이트
그러면서 "청와대를 나오겠다는 윤 당선인의 결심에는 이 같은 경험이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친 게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박근혜 정부 당시 보고체계는 늘 논란이 됐다. 국정농단 사태 이전에도 보고체계가 원활하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
2016년 12월 국회 국정농단 진상규명 특별위원회에서는 대통령과 관련한 보고체계 문제가 여실히 드러나기도 했다. 보고를 했음에도 대통령이 열람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는 것.
뉴스1
이를 목도한 윤 당선인이 자신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라는 보장이 없기에 처음부터 이를 막겠다는 뜻을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윤 당선인은 최근 관계자들과의 자리에서 "대통령에게 보고가 잘 이뤄져야 한다"라며 "참모들이 대통령과 바로 붙어 일하며 수시로 의사소통을 하는 게 좋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