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성동권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만남에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23일 중앙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전날 저녁 핵심 참모들에게 "내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이전 비용 문제를 부탁하려고 만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청와대는 윤 당선인의 집무실 이전에 대해 안보 공백을 이유로 "무리하다"라는 의견을 냈다.
청와대 발표에 대한 윤 당선인 측의 공식 입장은 "문 대통령이 협조를 거부하신다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는 정도였지만 실제 반응은 더욱 격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1
당시 윤 당선인은 "이건 새 정부 출범 준비를 방해하는 게 아니냐"라는 말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그들이 아무리 방해를 해도 절대로 청와대는 안 들어간다. 이렇게 청와대로 가는 건 권력에 눌리는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고 한다.
그 과정에서 "대통령실 이전 비용 등을 협상하기 위해 문 대통령을 만나는 건 안 하겠다. 필요 없다"라고 수차례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입장에 대한 격앙된 반응은 윤 당선인 주변에서도 나왔다. 김용현 전 합참 작전본부장은 "문재인 정부가 안보 운운하는 것 자체가 역겹다"라고 강도 높은 발언을 하기도 했다.
뉴스1
한편 집무실 이전 반대로 논란이 커지자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22일 "청와대가 새 정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박 수석은 "5월 10일까지 집무실 이전 작업이 대체로는 잘될 수 있다고 보지만, 안보 공백 우려는 꼭 해결해야 하니 머리를 맞대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집무실 용산 이전 문제에 대해 청와대는 사전에 전혀 말씀을 들은 바가 없다"라며 "문 대통령이 회의한 끝에 이런 우려를 자세히 설명해 드리라고 한 것인데, 이게 왜 신구 권력의 갈등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 때문에 더욱더 두 분의 회동이 절실하게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