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8일(월)

북한 도발에도 NSC 불참했던 文, 안보 강조하며 청와대 이전 '반대'

인사이트뉴스1


[인사이트] 박찬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윤석열 당선인 측의 '취임 동시 용산 이주' 계획을 안보상의 이유로 반대했다.


22일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국정에는 작은 공백도 있을 수 없다. 특히 국가안보와 국민 경제, 국민 안전은 한 순간도 빈틈이 없어야 한다"며 윤석열 당선인 측의 '취임 동시 용산 이주' 계획을 겨냥한 발언을 내놨다.


전날 청와대가 윤 당선인 측의 '취임 동시 용산 이주' 계획에 대해 안보상의 이유로 사실상 반대한 가운데 문 대통령도 직접 우려를 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21일 청와대는 올해 북한이 탄도 미사일과 방사포 등으로 연쇄 도발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을 언급하며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와 국방부, 합참 등을 연쇄적으로 옮기면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사이트뉴스1


이어 "4월 중에는 한미 간 연례적인 훈련 행사도 있는 시기인 만큼 한반도의 안보에 있어서 가장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고 밝히며 윤 당선인의 용산 이주 계획을 "무리하다"고 규정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주장이 납득 가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동안 북한의 도발이 있을 때마다 청와대는 대화를 강조하고 비판할 뿐 NSC도 직접 주재하지 않았는데, 윤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 계획을 밝힌지 하루 만에 청와대 위기관리센터를 찾아 NSC 확대관계장관회의에 참석해 용산 이전이 타당한지를 논의했기 때문이다.


이에 야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제 반대를 위한 반대를 하고 있다"고 비판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도 국정에 흔들림 없이 매진하면서 업무 인수인계 지원에 충실히 임해 주길 당부한다"고 주문했는데, 일각에서는 이를 5월 10일 윤 당선인 취임 전까지는 본인이 국군 통수권자로서 대통령 직책을 수행한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했다.


인사이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