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08일(월)

문 정부가 수백억 들여 키운 '북한 지원용 묘목', 동해 산불 피해 복구에 쓴다

인사이트동해 산불 현장 / 뉴스1


[인사이트] 임우섭 기자 = 문재인 정부가 동해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북한 산림 복구 지원용으로 수백억원을 들여 키운 묘목을 이용하기로 했다.


22일 조선비즈에 따르면 산림청은 문 정부 들어 남북산림협력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올해부터 매년 수십만그루의 대북 지원용 묘목을 출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정부는 남북 관계 경색으로 상황이 여의치 않아 이같이 결정했다.


이날 산림청이 홍문표 국민의힘 국회의원(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은 "산불 피해 지역 복구에 대북 지원용 묘목을 사용하는 것에 동의하냐"는 질문에 "동의함"이라고 답했다.


인사이트남북산림협력센터 / 뉴스1


산림청은 자체적인 검토 계획 유무에 대한 질의에도 "산불 피해 조사 및 복구 계획에 따라 묘목 사용을 결정(하겠다)"고 답했다. 묘목의 북한 출하 계획 변동 여부를 묻는 질의에는 "계획에 따라 출하 예정"이라고 답했다.


산림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소나무·낙엽송·자작나무 등 62만본의 대북 지원용 묘목이 북한에 출하될 예정이다. 오는 2023년에는 51만본이 출하될 예정이었다.


묘목들은 지난 2018년 9월 19일 평양 선언의 일환으로 본격적으로 확대된 남북산림협력사업을 통해 키워졌다.


인사이트동해 산불 현장 / 뉴스1


해당 사업은 당초 2017년과 2018년 기존 진행하던 대북 지원용 종자 채취를 위해 각각 3억 6000만원의 예산이 배정되는 데 그쳤다.


2019년부터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투입 예산이 57억 400만언으로 늘었고, 2020년에는 48억 6800만원이 투입됐다. 지난해 예산은 전년 두 배 가까이 되는 84억 9800만원 예산이 배정됐으며 올해도 76억 2200만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한편 지난 4일 발생한 동해안 산불은 불이 발생한 지 213시간 43분 만에 꺼지며 역대 최장기간 이어진 산불로 기록됐다. 해당 산불로 동해안 전체 산림 피해 추정 면적은 2만 4940㏊(헥타르)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