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집무실 이전 이유에 대해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윤 당선인 측은 지난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자회견 직후 서면자료를 발표해 크게 다섯 가지 이유를 들었다.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에 따르면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는 국민들의 일상적 불편 최소화, 소통하는 열린 대통령실 구현, 국가안보 수호를 위한 최적지, 소요 예산 면에서의 효율성, 국민들을 위한 공간으로의 청와대 재탄생 등의 이유가 있다.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이 아닌 용산으로 선택한 첫 번째 이유는 국민에게 주는 일상적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윤 당선인 측은 "광화문 정부 청사는 전파 차단으로 인한 시민들의 통화 방해, 집무실 주변 집회 금지로 인한 광화문 광장 이용 제한 등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 반면 용산 국방부 청사 인근은 이미 군사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있어 집무실 이전에 따른 추가적인 규제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청사 / 뉴스1
둘째로는 용산공원 개방을 통해 시민들과 수시로 소통할 수 있다는 이유를 들었다.
청와대 외에 국가 안보를 위한 최적지라는 평가도 이번 결정에 큰 역할을 했다.
광화문 정부 청사는 지휘 통제 시스템이 없어 기존 청와대 지휘 벙커 시설을 이용해야 하는데, 안보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적시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
반면 용산은 유사시 지휘 통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신속한 국가 안보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청와대 / 뉴스1
예산 면에서도 용산 대통령실이 유리하다고 강조했는데, 윤 당선인 측은 "임대 비용을 고려하면 소요 예산 면에서 광화문 이전보다 용산 이전이 훨씬 비용이 절감되고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을 위한 공간으로의 청와대 재탄생'을 들었다.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를 100% 국민 품으로 돌려드릴 수 있다. 고의 정원으로 불리는 상춘재 녹지원, 청와대 본관 등 청와대 부지뿐만 아니라 북악산 등산로, 서울성곽 산책로, 광화문 광장 등 일대 전체가 국민들에게 온전히 환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새 대통령 집무실은 장·차관실이 있는 2층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대통령 집무실 가까이에 비서진들 업무공간과 민·관합동위원회가 입주해 주시로 정부 정책 논의 회의가 가능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