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 뉴스1
[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이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방안을 권고한 바 있다고 정진석 국회부의장이 밝혔다.
지난 20일 정 부의장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 기자회견 직후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이를 언급했다.
정 부의장은 지난 16일 김 전 장관을 만나 새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에 대한 고견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김 전 장관은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3년6개월간 국방부 장관을, 박근혜 정부에서 3년간 안보실장을 역임한 인사다.
지난 20일 정진석 국회부의장 페이스북에 올라온 글 일부
정 부의장은 "김관진 전 실장은 재임 때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국방장관', '국민의 전폭적인 신뢰를 받는 안보 수장'이란 세평을 얻었다"고 부연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정 부의장과 만난 자리에서 청와대 이전 적지(適地)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정 부의장은 청와대 이전에 대한 김 전 장관의 의견이 보고서에 담겨 윤석열 당선인 측에 전달됐다면서 해당 보고서에 담긴 김 전 장관의 말 일부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김 전 장관은 "정부 종합청사나 외교부 청사에는 지하벙커가 없어 대통령의 전시 지휘, 긴급 대피가 문제"라고 했다.
정진석 국회부의장 페이스북
김 전 장관은 "용산의 국방부 청사 건물마다 지하 벙커가 있다. 용산이 중요한 전략적 위치이기 때문에 청나라 군대, 일본 군대, 미군이 주둔했다.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실을 옮기고, 국방부 관련 시설을 조정하면 될 듯하다"고 했다.
이어 "한남동 외교장관 공관이 국방장관 공관의 두 배 크기다. 대통령 관저는 그곳으로 옮기면 된다"고 덧붙였다.
또 김 전 장관은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직무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국군통수권자'라고 강조하며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할 때 첫 번째 고려 사항은 군 지휘체계라고 밝혔다.
'청나라의 위안스카이 군대, 일본 제국주의 군대, 미군이 주둔했던 치욕의 땅'이라는 일부 주장에 대해 김 전 장관은 "그 곳이 그만큼 전략적으로 중요하다는 이야기이고, 그래서 우리 국방부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지난 20일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 중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 뉴스1
이와 함께 김 전 장관은 "대북 군사 억지력을 굳건하게 확보하는 것이 평화"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정은에게 고개 숙이고 눈치보는 것을 평화라고 하는 세력들이 있다. 윤석열 정부의 첫 번째 안보 과제는 한미연합전력체계를 신속하게 복원하는 일"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윤 당선인은 지난 20일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을 공식화했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부터 새 용산 집무실에서 근무를 시작하고 기존 청와대는 국민에게 개방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