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박찬희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청와대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 부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총공세 펼치기에 나섰다.
민주당 내 국방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공개적인 '반대 의사'를 통해 국방부 집무실 이전에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
지난 18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국방위원들은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윤 당선인의 청와대 국방부 청사 부지 이전 추진을 강력 반대했다.
이들은 "윤 당선인의 청와대 용산 이전 추진이 초래할 안보 공백 사태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윤 당선인이 공언했던 선제타격의 첫 대상이 국방부인가"라고 비판했다.
이어 "집무실 이전으로 국방부와 합참은 물론 관련 부대의 연쇄 이동이 불가피하다"며 "국방부와 합참 지휘부가 비슷한 시기에 사무실을 연쇄적으로 옮기게 되면 통신과 지휘상 혼선과 공백이 초래된다"고 덧붙였다.
뉴스1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열 수 없는 점도 지적했다. 국방부 인근 합참 군사 지휘통제본부는 지금의 군 지휘부를 위한 시설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국가 주요 요인과 참모를 데리고 들어가기에는 비좁다는 의견이다.
또 이전 비용도 문제 삼았다. 민주당 자체 추계 결과, 합참과 국방부 직할 부대 전체를 옮기고 청와대를 이전할 경우 약 1조 원이 소요된다는 주장이다. 반면 당선인 측은 집무실을 국방부로 옮길 경우 약 500억 원의 추가 예산이 들어간다는 입장이다.
윤 당선인이 청와대 집무실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옮길 경우, 관저는 인근에 신축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는 용산 가족공원 부지와 가까운 국방부 청사 남쪽에 관저를 새로 지어 차량 없이 도보로 출퇴근하겠다는 것인데, 매일 출퇴근할 경우 차량·통신 통제로 시민들에 큰 불편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편 윤 당선인은 20일 오전 11이 기자회견을 열고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로 이전하기로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