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성동권 기자 =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외교부 청사 등을 함께 고민하던 윤 당선인은 이전 비용 등을 고려해 서울 용산 국방부를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동아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내 청와대 이전 태스크포스(TF) 검토 결과 용산 국방부 신청사를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하기로 잠정 결론을 내렸다.
현재 국방부 장관실이 있는 신청사 2층을 포함해 1∼5층의 5개 층을 사용하겠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달 말부터 리모델링에 착수해 5월 10일 대통령 취임일에 입주한다는 구상이다.
뉴스1
후보 시절 윤 당선인은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주장했다.
하지만 경호와 이전 비용에 부수 효과 등을 검토하면서 용산 국방부 청사가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대통령 집무실을 국방부 청사로 이전할 경우 주변에 높은 건물이 없어 도·감청이나 경호 우려도 작다.
또한 외교부 청사로 이전할 때보다 예산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용산공원이 준공되면 당선인이 잠깐 나가도 국민들을 만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뉴스1
다만 윤 당선인 측은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 이전에 따른 어려움을 인정하고 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새 길을 낼 때는 장애물이 많다. 특히 경호와 보안 같은 상당히 많은 난관에 부딪혔음을 알게 됐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17일 브리핑에서 김 대변인은 "5월 10일 취임해 새 대통령 집무실에서 국민들에게 인사드릴 수 있다는 점만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확실한 것은 (청와대로) 다시 돌아가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워낙 청와대란 곳이 구중궁궐로 느껴져서 들어가면 국민들과 접점이 형성되지 않고 소통 부재로 흐르는 경우가 많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