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박찬희 기자 = 윤석열 정부에서는 군 장성 인사 기조가 '역차별' 없는 능력 중심으로 바뀐다.
지난 16일 채널A 뉴스는 차기 정부에서 수뇌부 구성을 포함한 군 인사 대부분이 교체 대상에 포함된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의도적으로 육사 출신을 배제하지 않고 능력 위주로 뽑겠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보도했다.
문재인 정부는 국방부 장관과 합참의장에 비육군, 비육사 출신을 다수 임명해왔다.
그동안 요직을 독점한 주류의 힘을 빼겠다며 창군이래 처음으로 해군 출신 국방부 장관, 공군 출신 합참의장으로 군 수뇌부를 꾸렸고 육군 역시 육사 배제 기조를 보였다.
뉴스1
하지만 내부에서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단지 그동안 주류였던 '육사 출신'이라는 이유로 요직에 기용하지 않는 것은 '역차별'이라는 지적이었다.
이에 윤 당선인은 "출신보다 경력과 능력만 보겠다"며 비육군, 비육사 출신을 요직에 기용한 문재인 정부와 차별화하겠다고 나섰다.
인수위 관계자도 "비육사와 육사를 구분하는 것 자체가 정치권의 개입"이라며 "최대한 군에서 역량을 잘 발휘할 수 있는 사람으로 인사하는 게 원칙"이라고 밝혔다.
군 수뇌부 인사는 차기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임명 및 취임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인사검증과 청문회 등을 감안해 오는 7~9월 순차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