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김소영 기자 = 이재명 지지 성향이 짙은 보배드림, 클리앙 등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중 유일하게 마음에 들어 하는 한 가지가 있다.
바로 여성가족부(여가부) 폐지 공약이다.
이들은 커뮤니티를 통해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을 비판하면서도, 여성가족부 폐지에 대한 공약만큼은 찬성하고 있다.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윤석열의 대통령 당선으로 인해 여성가족부가 존폐 위기에 놓였다는 글이 잇따라 올라왔다.
뉴스1
앞서 선거 기간 동안 윤석열은 줄곧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을 내세워왔다. 지난 1월 7일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일부 이재명 지지 성향의 누리꾼들은 "이재명 지지자였지만 여가부 폐지는 반가운 소식", "세금 너무 아까웠다", "이건 찬성한다", "여가부 폐지엔 여야가 없네. 이게 바로 국민 화합 아니냐", "여가부 정책은 역차별이었다" 등의 입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1월 리얼미터 조사 결과 51.9%의 응답자가 여가부 폐지에 찬성했을 정도로 여가부 폐지 이슈는 뜨거웠다.
여가부 예산 중 성별 불평등과 직결되는 여성, 성평등 정책에만 올해 938억원의 예산이 들어간 것이 과도하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높았다.
윤 당선인의 약속대로 여가부가 폐지된다면, 여가부가 맡은 기존 업무는 다른 부처로 이관되거나 별도 부처가 신설될 가능성이 높다.
보배드림
실제 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는 지난달 공개한 공약집을 통해 여가부 폐지와 함께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별도 부처를 신설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여성가족부가 존폐의 기로에 놓인 상황에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여성 단체는 폐지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윤 당선인의 공약이 실현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실제 2007년 이명박 정부에서는 여가부 폐지를 논했으나 여성 단체 및 통합 민주당의 반발로 무산됐다.
박근혜 정부 때도 부처 명에서 여성을 빼고 양성평등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한편 여가부의 업무는 크게 여성·성평등 정책, 청소년정책, 가족정책, 권익증진으로 나뉜다. 올해 여가부의 성인지 예산은 26조 8821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