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시스
[인사이트] 성동권 기자 = 전남 신안군에서 '염전 노예' 의혹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한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신안군은 지난 7월부터 두 달 동안 장애인 노동자들의 인권침해 실태를 조사했다.
해당 보고서의 1차 조사 결과, 의심 사례가 15건에 달했지만 2차 조사 결과에서는 모두 '문제없음'으로 결론이 났다.
의심 사례들 중에는 섬에서 나가지 않았던 장애인 노동자의 신용카드가 목포에서 사용됐거나 노동자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출금이 수시로 이뤄진 경우도 존재했다.
이처럼 신안 염전을 두고 연달아 논란이 제기되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신안 소금 불매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염전 노예 논란 없는 타지역 소금 구입하고 싶을 때 고려해 볼 수 있는 옵션"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해당 글은 신안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생산되는 소금의 목록을 정리해서 소개하고 있었다.
단기간에 해당 글에는 약 900개의 댓글이 달리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작성자는 "대기업 상품이나 흔히 슈퍼나 마트에서 판매하는 소금들은 거의 다 신안에서 생산되는 소금들인데, 신안 염전 노예 사건을 뿌리 뽑으려면 불매를 하는 수밖에 없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거의 대부분의 국민들이 신안의 소금을 소비하니까 신안 염전 노예 사건이 터져도 배 째라 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누리꾼들은 "진짜 신안에서 안 좋은 소식이 몇 번째 들리는지 모르겠다", "이번에 불매운동까지 해서 꼭 뿌리뽑자"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경찰은 신안군 일대 사업장 900여 곳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