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인사이트] 김재유 기자 = 음식을 주문하려 배달앱을 둘러보다가 배달비가 너무 비싸 주문을 망설인 경험, 다들 있을 것이다.
'배달비 무료'라고 표시된 곳도 마찬가지다. 실제로 들어가 보면 대량으로 주문할 때만 무료로 배달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3~4천원에 달하는 금액이 책정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그런데 이처럼 높은 배달비에 불만을 품은 이들은 소비자뿐만이 아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MBC '킬미힐미'
가게 주인들 역시 배달비 때문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배달비는 가게와 소비자가 반반씩 부담하게 된다. 그 금액은 모두 배달 대행 업체와 배달원에게 돌아간다.
그런데 배달비에는 단순히 배달 수수료와 배달원에게 지급되는 금액만이 포함된 게 아니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소비자들과 자영업자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배달 비용에는 배달원 보험료가 포함돼 있다.
배달원 보험료는 배달원 산재보험료, 고용보험료뿐만 아니라 교통 법규를 어겼을 때 청구되는 벌금을 충당할 금액까지 책정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소비자와 가게가 나눠 내는 금액에 배달원들의 보험료와 벌금까지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최근 정부가 내년부터 배달원들을 대상으로 소득세를 과세한다고 밝혀 배달 비용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누리꾼들은 플랫폼 이용료와 배달 수수료와 더불어 배달원 보험료, 벌금, 소득세까지 배달 비용에 포함해 인상하는 것은 과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소비자들과 자영업자들은 배달원 보험료 등은 배달원과 배달 앱 측에서 부담해야 될 금액이 아니냐며 부당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업체 측에서 배달 비용을 인상하면 결국 매출을 남기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내야 하는 배달팁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업체와 소비자 가운데서 난처한 입장이라고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