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학교폭력 가해 이력을 가진 수험생들이 대거 불합격 처리되면서 '학폭하면 대학 못 간다'는 경고가 현실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일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거점 국립대 10곳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입시에서 6개 대학이 학교폭력 전력을 가진 지원자 45명을 최종 불합격시켰습니다. 이는 학폭 감점제가 실제 대학 입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가장 많은 학폭 이력 불합격자가 발생한 곳은 경북대였습니다.
사진 = 인사이트
경북대느 학폭 사건 처분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감점 조치를 적용해 수시 19명, 정시 3명 등 총 22명을 탈락시켰습니다.
서울대도 학폭 이력을 가진 정시 지원자 2명을 불합격 처리했으며, 부산대는 수시 6명과 정시 2명 등 총 8명을 감점 처리해 탈락시켰습니다.
강원대는 수시에서 5명, 전북대는 수시 4명과 정시 1명, 경상대는 수시 3명의 학폭 가해자를 각각 불합격 처리했습니다.
반면 전남대, 제주대, 충남대, 충북대 등 4개 거점 국립대에서는 지난해 학폭으로 인한 불합격자가 없었습니다. 학교폭력 감점제를 모든 전형에서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일부 대학의 경우 체육특기자 전형 등 특정 전형에만 감점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2026학년도 대학 입시부터는 제도가 더욱 엄격해집니다. 올해 고3 수험생이 치르는 입시부터는 모든 대학이 모든 전형에서 학폭 기록을 의무적으로 평가에 반영해야 합니다. 이는 학교폭력 가해 이력이 있는 학생들에게 대학 진학의 문턱이 한층 높아짐을 의미합니다.
각 대학은 자체적으로 감점 방식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주요 방식으로는 학폭 사건 조치 사항에 따른 감점을 적용하는 정량평가, 서류나 면접 시 반영하는 정성평가, 그리고 지원 자격 제한 또는 부적격 처리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