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 내정자 / 뉴스1
[인사이트] 박상우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인 탈원전 정책 폐기에 대해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의 주요 정책 기조였던 탈원전이 수술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일 한 후보자는 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원전을 잘 활용할 생각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 후보자는 "우리는 2050년에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며 "온실가스를 거의 배출하지 않는 원전을 잘 활용할 생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 후보자는 일각에서 주장하는 원전 안전도 우려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그는 "원전이라는 것은 세계적으로 봐도 지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면서 "만약 안전도가 문제라면 더 안전한 원전을 만들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원전의) 안전을 규제하는 원자력위원회가 제대로 기능을 못한다면 더 독립적인 위원회를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대선기간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를 공약한 바 있다. 당시 윤 당선인은 탈원전 폐기를 넘어 새 정부의 에너지정책 중심에 원전을 놓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과 한덕수 국무총리 내정자 / 뉴스1
윤 당선인은 "원전 최강국을 건설하겠다"면서 문재인정부에서 중단된 원전 건설을 다시 추진해 원전 발전 비중을 30%대로 유지하겠다고 공약했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한 후보자는 그동안 사석에서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한 탈원전, 소득 주도 성장, 부동산 규제, 확장 재정 등에 대해 '반시장 정책'이라며 우려를 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윤 당선인 취임 이후 경제 정책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한 후보자는 소득 주도 성장에 대해선 "원래 소득주도성장이라는 건 이렇게 최저임금만 급격히 올린다는 게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왜냐하면 기업들이 급격히 올린 소득을 기업들이 감당할 만하지 않으면 결국 고용을 줄이는 것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답했다. 아울러 "방법론 자체가 좀 무리가 있었다"고 평가하며 수술을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