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국내 요소수 품귀 사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 매체들은 한국이 요소수 원료 수입의 대부분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각하고 있다.
일부 매체는 "자업자득", "중국과 무슨 관계냐" 등의 표현을 써 가며 한국의 현 상황을 꼬집었다.
지난 9일 중국 국영 청두TV가 운영하는 인터넷 매체 선냐오즈쉰은 "(한국은)석유화학 산업 강국으로 요소를 생산할 능력이 없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매체는 "한국 정부는 재벌에 유리한 경제정책을 채택하면서 경제적 이익이 없는 분야에는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이어 "국가 경제 및 국민 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전략 자원을 자급자족하거나 비축 체제를 구축하지 않았다"며 "한국이 특정 분야 위기를 겪는 것은 자업자득으로, 중국과 무슨 관계냐"고 반문했다.
앞서 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반도체 위기를 거론하며 한국이 과거 교훈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취지의 주장도 덧붙였다.
중국 내부에선 이번 사태를 중국의 자원 공급망 위상을 높이는 계기로 이용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중국 해협속보는 '한국이 목 졸릴 차례. 중국, 자동차 핵심 원자재 수출 중단에 한국 물류 마비'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중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완벽히 증명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