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전준강 기자 = 중국발 요소수 대란이 국내 물류대란으로 이어질 조짐을 보이자 군(軍)이 나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8일 경제 매체 서울경제는 "우리 군이 비축한 수개월치 요소수 물량 중 일부를 민간에 방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현재 국방부는 군 보유 요소수 물량을 민간에 일정량 대여하는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검토 중이다.
뉴스1
현재 군이 얼마만큼의 요소수를 보유하고 있는지는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수개월치 물량은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민간에 일부 대여를 한다고 해도 당장 문제가 생기지는 않을 거라는 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현재 정부와 기업들이 요소수 공급 차질 사태를 해결하는 데까지 필요한 시간을 벌어다 줄 수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군은 지금까지 다수의 요소수를 비축해왔다. 군용 차량 중 거의 대부분이 디젤 차량이고, 군용디젤 차량 중 대다수가 민수용 디젤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군에게 요소수는 필수다.
사실상 요소수가 없으면 군도 돌아가지 않기 때문에 다량의 요소수를 비축해왔던 것.
뉴스1
하지만 우리 군이 보유한 디젤 차량 중 대부분이 요소수 등을 반드시 적용하도록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생산된 모델들이어서 실제 군내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군용 차량은 다소 제한적이다.
이 덕분에 다소간 대여를 해도 당장은 지장이 없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정부와 군 당국은 앞으로 군수용 차량 조달시 수소자동차, 전기차 등을 적극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다만 충전시설이 아직 충분하게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 전시 상황서 북한이 EMP를 대량으로 쏠 경우 수소차, 전기차의 먹통 가능성이 높아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