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임우섭 기자 = 서울시는 플랫폼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카카오택시'의 이용 불편을 파악하기 위해 운행 실태 현장조사에 나선다.
승차거부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불법 행위인 '호출 앱을 악용한 골라태우기'도 연말까지 집중 단속할 예정이다.
13일 서울시는 "플랫폼 택시로 인한 시민들의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대책을 추진한다"며 "독점 방지, 경쟁력 확보 등 플랫폼 택시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민·관·학 TF(태스크포스)도 가동한다"고 밝혔다.
플랫폼사의 독점구조로 인해 시민 불편은 물론 택시 업계의 불공정 문제가 계속되고 있어 강력한 대책을 내세워 업계의 개선을 이끌어낸다는 계획이다.
gettyimagesBank
서울시는 카카오택시 호출 서비스 운영 실태조사를 실시해 '승객 목적지 표시와 선호지역 우선 배차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성공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시민 불편을 조사·분석한다.
조사는 목적지 표시에 따른 장·단거리 선택 여부와 기사의 선호지역 우선 배차 서비스 가입 여부에 따른 배차 성공률 및 소요시간 등을 확인한다.
또 호출에 성공한 배정차량번호를 확인해 최근 불거진 카카오 자사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 의혹도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다.
서울시 / gettyimagesBank
서울시는 이어 실태조사를 위한 연구용역을 이달 중에 시작해 오는 11월 말까지 실시한다고 밝혔다.
연구 조사·분석 결과는 카카오 측에 전달해 자발적인 개선을 촉구하면서도 국토부와 공정위 등 유관기관과도 공유해 제도 개선을 이끌 계획이다.
한편 이달 가동 예정인 민·관·학 TF에서는 '택시업계 자체 플랫폼 확보 방안 및 시 지원 필요사항', '플랫폼택시의 지속가능한 관리방안', '플랫폼택시 관련 택시사업자 및 운수종사자 지원방안', '플랫폼택시 개선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등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