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길거리와 화단 등에 버려져 도시 미관을 해치는 '담배꽁초'를 수거해 재활용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특히 월 최대 6만 원의 보상금을 주는 '담배꽁초 수거보상금 지급사업' 등의 확대를 통해 담배꽁초 수거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지난달 24일 환경부는 서울 강북구,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와 손잡고 담배꽁초 회수·재활용 체계 시범구축과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3개 기관은 앞으로 담배꽁초를 모아서 재활용하는 시범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길거리에 무단으로 버려진 담배꽁초는 도시 미관을 해치는 골칫거리로 꾸준히 지적받아왔다.
무엇보다 이들 꽁초 필터는 플라스틱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구성돼 있는데 길가에 무단으로 버려진 꽁초는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담배꽁초 수거와 거리 청소에 드는 비용을 담배 생산자에 부담시키는 방안을 진행하고 있다. 또 최근에는 미국, 프랑스 등 각국 민간 기업에서 담배꽁초 필터를 가구, 벽돌 등 제조에 재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환경부도 이러한 해외 사례로 확인된 담배꽁초 재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로 했다. 내년 5월까지 약 9개월간 강북구와 함께 시범사업을 진행한 뒤, 내년 연말까지 전국 확대 여부를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담배꽁초를 재활용하려면 충분한 물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강북구는 수거보상금 지급 사업을 추진한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강북구는 앞서 지난 3월부터 사전교육을 받은 20세 이상 구민에게 담배꽁초 1g당 20원씩 월 최대 6만 원의 보상금을 주는 '담배꽁초 수거보상금 지급사업'을 통해 재활용 물량을 확보하고 있다.
자신이 모아온 담배꽁초를 강북구 내 13개 동 주민센터에 접수하면 되는 식이다. 여기에 더해 강북구는 관내 공공기관 건물, 대형사업장, 상습 무단투기 지역 등 20여 곳에 수거함을 새로 설치하기로 했다.
이렇게 회수된 담배꽁초는 크게 두 가지 경로로 재활용이 추진된다. 필터는 먼저 분리한 뒤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제조에 활용한다. 남은 종이와 연초 부분은 소각해 에너지 회수에 나서게 된다.
다만 담배 필터를 재활용하려면 필터 내부의 유해물질 제거가 이뤄져야 한다. 정부는 해당 분야 전문가와 함께 용매추출법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유해물질이 제거되면 플라스틱 재활용 제품의 원료가 되는 재생 펠릿을 뽑아내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관계기관과 협력해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담배꽁초 회수, 재활용 체계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