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0일(수)

'개 식용 금지법' 두고 찬성과 반대 극명히 나뉘고 있는 현 상황

인사이트YouTube 'KBS News'


[인사이트] 전유진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개 식용 금지법'을 신중히 검토할 때가 됐다고 언급한 뒤 해당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됐다.


개 식용과 관련된 논란은 오랜 얘기지만 최근에는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예상처럼 문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발언 공개 이후 정치권에서는 물론 온라인에서도 찬반양론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3일 KBS 보도에 따르면 동물권 단체들은 청와대 입장이 진일보했다며 반기는 반면 식용견을 사육하거나 도축하는 모임인 육견 단체는 강하게 반발에 나서고 있다.


인사이트YouTube 'KBS News'


먼저 동물권 단체들은 개 도축이 이미 43년 전부터 불법이었다고 주장한다. 개는 축산물 위생관리법상 식용 목적 동물에서 1978년에 제외된 점을 근거로 들었다.


한 동물권 단체 관계자는 "제일 가장 필요한 것은 입법 작업이다. 동물 보호 정책의 실현을 위해서라도 개 식용이 바로 금지되는 명백한 법안이 마련됐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반면 육견단체는 개 고기를 먹을 자유를 제한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영업을) 관두게 하면 정부에서 지원이라도 해줘야지, 지원 없이 국회 통과만 하면 나는 길에서 살아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앞서 지난달 27일 문재인 대통령은 김부겸 국무총리와의 주례 회동에서 유기 반려동물 관리체계 개선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뒤 "이제는 개 식용 금지를 신중하게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라고 말했다.


개 식용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이 입장을 밝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논란이 되자 청와대는 당장 시행될 것은 아니고 오랫동안 차분히 준비해 국민 정서와 이해 당사자들 입장까지 고려하겠단 입장을 밝혔다.


YouTube 'KBS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