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김다솜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인수위 구성 과정에서 여성할당제를 도입하거나 영·호남 지역 안배를 고려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새 정부 조각에도 같은 원칙을 적용한다.
개인의 전문성, 실력을 최우선으로 삼는 '능력주의' 인재상이다.
양성평등 구현을 위해 내각의 30% 이상을 여성으로 채우려고 노력한 문재인 정부의 인사 원칙과는 다르다.
13일 '연합뉴스'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와의 단독 인터뷰를 전했다.
이 관계자는 "국민을 제대로 모시려면 스토리가 아닌 실력을 봐야 한다"며 "일, 능력 중심의 인사가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사는 누구한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다. 나오자마자 선수로서 자기 몫을 해야 한다"고 했다.
윤 당선인은 인수위 구성 과정에서부터 여성할당제를 도입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한다. 내달 초부터 발표하게 될 국무총리·장관 후보자를 선정할 때도 마찬가지다.
인수위 산하에 지역균형발전 태스크포스(TF)를 설치하지만, 인위적으로 영남과 호남 출신 인사를 안배하는 이른바 '균형 인사'는 검토하지 않는다.
윤 당선인은 특정인의 성별, 출신 지역, 나이와 상관없이 최적임자를 중용하는 게 '공정과 상식' 인사라는 확고한 철학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