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박상우 기자 = 코로나19 확진자가 폭증하면서 이에 따른 사망자 역시 급증하고 있다.
화장 수요 역시 급증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화장장, 장례식장, 병원 영안실 등 일선 장례 현장에서 대기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전해졌다.
11일 SBS 보도에 따르면 서울 소재 화장장은 오는 2월 15일까지 예약이 꽉 찬 상태다. 인천과 경기도 역시 각각 오는 14일, 13일까지 자리가 없다.
많은 유족이 화장 일정을 잡지 못해 장례 기간이 늘어나면서, 장례식장 빈소를 예약하는 것은 그야말로 경쟁이 됐다.
이들 중에는 빈소를 잡지 못해 급한 대로 시신만 병원 영안실에 두는 경우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장례식장 빈자리가 생기면, 그 즉시 빈소를 마련해 조문을 받는 방식으로 빈소를 기다렸다.
심한 경우 장례 기간을 늘리지 못 한 채로 3일장을 지낸 뒤, 시신을 영안실에 도로 두는 경우도 있다도 있다고 한다.
실제로 이날 장례가 접수된 A씨의 경우 장례식장은 운 좋게 자리가 생겨 빈소에 마련할 수 있었지만, 화장 예약은 오는 15일까지 밀리는 바람에 14일부터는 시신을 영안실에 두기로 했다고 한다.
또 일부 장례식장에서는 영안실 내 적재 현상이 심각해져, 시신을 안치 냉장고 외부에 보관하는 경우도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화장시설을 확대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보건복지부는 화장 운영 극대화를 위해 지난 4일 전국 60개 공설 화장시설에 운영시간과 화장 회차를 늘리고, 예비 화장로를 추가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
기존에는 화장로 1기당 하루 평균 3.3회 가동해 사망자 1000명의 화장이 가능했지만, 앞으로는 하루 평균 4.3회로 1기당 가동 횟수를 늘려 최대 1300명을 화장할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는 다음 주 오미크론 유행 규모가 정점을 맞으며 주 평균 확진자가 37만명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일 확진자는 최대 40만명 이상 발생할 수도 있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