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트] 임우섭 기자 = 우리 식탁에 때 놓을려야 때 놓을 수 없는 라면의 가격이 13년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면서 가격이 올라간 탓인데 빵과 식용유, 소금 등 기타 가공식품도 가격 상승을 피하지 못했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10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109.89로 1년 전보다 3.1%가 올랐다. 2014년 11월 3.3%오른 것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수준이다.
품목별로 보면 라면은 1년 새 11.0%가 올랐다. 14.3%가 상승했던 2009년 2월 이후 무려 1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것이다.
이는 오뚜기와 삼양식품, 팔도, 농심 등 대표 라면 업체들이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비가 상승함에 따라 라면 값을 올려 일어난 현상이다.
이외에도 밀가루 값 상승 영향으로 국수가 19.4% 올랐고 비스킷 6.5%, 파스타면 6.4%, 빵 6.0%, 스낵 과자가 1.9% 올라갔다.
국제 곡물 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가공식품의 가격은 향후 지금보다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소금 가격은 1년 전보다 23.9% 올라 지난달 가공식품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막걸리는 17.5% 상승했고 드레싱은 14.3%, 식용유는 12.3%가 상승했다. 고추장(8.3%), 물엿(8.0%), 식초(6.2%), 설탕(6.0%), 참기름(4.8%) 등 조미료와 우유(4.3%), 주스(3.9%) 등 음료 가격도 함께 올랐다.
외식 가격 품목에서는 생선회가 8.8%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죽(7.6%), 막걸리(7.4%), 갈비탕(6.5%) 등이 뒤를 이었다. 김밥 가격은 4.8%, 밖에서 사 먹는 라면 가격은 3.9%로 각각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