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주거정비사업,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강북 지역의 주거정비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집이 있는 서울, 그 첫 번째 퍼즐은 강북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하며 강북 지역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는데요.
뉴스1
오 시장은 "장시간 주거정비사업의 시계가 멈춰버린 강북 지역이 안타깝다"며 "강북 유권자들의 선택을 받았던 많은 정치인은 통렬히 반성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그동안 강북 지역의 개발이 지지부진했던 현실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정치권에 묻는 발언으로 해석됩니다.
서울시의 '31만 호 착공 계획'과 강북 개발
서울시가 최근 발표한 '31만 호 착공 계획'은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질적인 주택 공급 계획이라는 점에서 시민들의 기대를 모았습니다.
특히 오 시장은 "31만 호 착공 계획만큼 많은 호응을 보내준 계획이 바로 강북구 미아2 재정비촉진구역 4000 세대 공급 계획"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서울시가 미아2 재정비촉진구역에 대해 기준용적률을 20%에서 최대 30%까지 늘리고, 법적 상한용적률은 1.2배까지 확대하는 등 파격적인 규제 완화를 단행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그동안 정체되었던 강북 지역 개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뉴스1
강북 지역 개발의 현실과 과제
오 시장은 서울시로 복귀하기 전까지 서울 전역에서 해제된 재정비촉진구역이 전체 319개 사업장 중 총 105곳에 달하며, 그중 강북 지역이 59곳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서울이 심각한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을 겪게 된 중요한 배경 중 하나로 지목되었습니다.
"더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고 노력했다면 강북 개발의 속도와 성과는 달라졌을 것"이라는 오 시장의 발언은 과거 강북 지역 개발에 대한 정치권의 무관심을 비판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변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미아2구역, 강북 변화의 신호탄
서울시는 2030년 상반기 미아2구역 4003호 착공을 목표로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 시장은 이 사업이 "단순한 주택공급이 아니라 미니 신도시급 대규모 주택단지의 출현이자, 강북 전성시대를 이끌 첫 신호탄"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주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의지와 자치구의 원활한 협조로 강북에 다른 미래가 열리고 있다"는 오 시장의 말은 강북 지역 개발이 행정기관의 노력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참여와 협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뉴스1
'집이 있는 서울'을 향한 비전
오 시장은 "마른 수건을 쥐어짜는 심정으로 조금이라도 더 빨리, 더 많이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한 채라도 더, 하루라도 빨리' 이것이 지금 저의 마음"이라고 전했습니다.
"'집이 있는 서울'은 불가능한 미래가 아니다"라는 오 시장의 말은 주택 문제 해결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강북 지역부터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계획은 서울 전체의 주거 환경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합니다.
강북 지역의 주거정비사업이 본격화되면 주택 공급 확대뿐만 아니라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시의 이번 계획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앞으로의 진행 상황이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