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7일(일)

'늑장 대응' 논란 불거진 송도 사제총기 살인 사건... 경찰, 유족에 '이런' 요구도 했다

인천 송도 사제총기 살인사건, 경찰 초동대응 논란 확산


인천 송도에서 발생한 사제총기 살인사건을 둘러싸고 경찰의 초동대응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장 지휘관 부재와 매뉴얼 미준수 문제에 더해, 피해자 가족에게 상식 밖의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


지난 26일 인천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9시 31분쯤 "시아버지가 남편을 총으로 쐈다"는 긴급한 112 신고가 들어왔지만, 경찰이 특공대를 투입해 아파트 내부로 진입한 시점은 신고 후 70분이나 지난 오후 10시 40분이었습니다. 이때 피해자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습니다.


내부에 폭발물을 설치했던 60대 A씨의 자택 현관 앞에 사건 조사 중임을 알리는 폴리스 라인이 설치돼 있다. / 뉴스1내부에 폭발물을 설치했던 60대 A씨의 자택 현관 앞에 사건 조사 중임을 알리는 폴리스 라인이 설치돼 있다. / 뉴스1


당시 상황관리관 A경정은 현장에 직접 출동하지 않고 경찰서 상황실에서 무전으로만 지휘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A경정은 방탄복 착용 지시와 집 구조 확인 등 필요한 조치를 취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질적으로 현장에는 지휘관이 부재했던 상황이었습니다.


이 시간 동안 경찰은 총격으로 파손된 도어록을 열지 않았고, 휴대전화 위치추적이나 CCTV 확인 같은 기본적인 수사 조치도 피의자가 도주한 이후에야 진행했습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더욱 충격적인 것은 피해자 가족에게 내려진 비상식적인 지시입니다. 당시 며느리는 어린 자녀와 함께 방으로 피신한 상태에서 112에 세 차례나 신고했고, 현장 경찰과도 네 차례 통화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이 신고자인 피해자 가족에게 시아버지에게 총을 맞은 아들을 밖으로 내보내라고 설득해보라는 요구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하고 있다"며 명확한 답변을 회피했습니다.


지난 20일 총기사고가 발생한 인천 송도국제도시 아파트 단지 앞 수사관들이 서있다. / 뉴스1지난 20일 총기사고가 발생한 인천 송도국제도시 아파트 단지 앞 수사관들이 서있다. / 뉴스1


범죄심리 및 경찰 대응 전문가들은 이번 경찰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특히 범행 직후 극도의 공포 상태에 있는 피해자 가족에게 가해자를 설득하라고 요구한 것은 '위험천만한 대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재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이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에 착수했으며, 경찰 관계자는 "현장 초동 조치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면밀히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피의자 B씨는 아들을 사제 총기로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경찰은 B씨의 자택에서 시너와 세제 등 인화성 물질 15개와 점화장치를 발견해 폭발물 설치 시도 혐의까지 추가로 조사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