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 NK 보도 캡처
북한에서 소고기를 팔다 적발된 남녀 9명이 처형 당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현재 북한에선 개인이 소를 소유하거나 도축·판매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만, 해당 이유만으로 공개 처형하는 것은 '가혹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데일리NK 재팬, 미국계 라디오 프리 아시아(RFA) 등에 따르면 지난 8월 30일 오후 4시 북한 혜산시 비행장 주변 공터에서 잔혹한 공개처형이 이뤄졌다.
북한군 특별군사재판에 회부된 피고인은 남성 7명, 여성 2명 등 모두 9명이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Korea
이들은 지난 2017년부터 올해 2월까지 병으로 죽은 소 2,100마리를 판매한 혐의를 받았다.
이들 중에는 양강도 수의방역소장, 양강도 상업관리소 판매원, 농장 간부, 평양 모 식당 책임자, 군 복무 중 보위부 10호 초소(검문소) 군인으로 근무했던 대학생 등이 포함됐다.
소는 먹는 것이 아니라 농업의 생산 수단이기 때문에 북한 서민들이 소고기를 먹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그렇기에 북한에선 개인의 소 소유나 도축,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위반자는 단순한 경제범이 아니라 정치범 취급을 받게 된다.
하지만 시민들을 상대로 공개 처형을 진행한 것은 너무 가혹하다는 여론이다.
지난 9월 RFA는 "조선인민군 특별재판소는 피고인을 한 명씩 총살한 뒤 다시 시신에 고사총을 사격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집권 초기에 일반 주민에 대한 공개 총살을 금지하며 잔인한 독재자의 아들 이미지를 벗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경제가 악화되자 공개 총살이 다시 돌아왔다"고 분석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Korea
북한 주민들 역시 "그렇게 잔인하게 처형될 줄 몰랐다"며 "이미 병으로 죽은 쇠고기를 판 것이 공개 처형될 정도의 죄인가"라고 매체에 불만을 드러냈다.
한편 유엔총회 제3위원회는 지난달 15일 북한에 의한 인권침해를 비난하는 유럽연합(EU)의 결의안을 투표 없이 채택했다.
지난 2005년부터 19년 연속 채택된 북한인권결의안은 이달 유엔총회 본회의에 상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