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S모빌리티 184억 투자 배경 집중 추궁... "김 여사 영향 여부 수사 중"
김건희 여사 일가와 측근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김건희 특검'(특별검사 민중기)이 대기업 총수들을 잇달아 소환하며 본격적인 강제 수사에 들어갔습니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조현상 HS효성 회장, 윤창호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김익래 전 다우키움그룹 회장에게 오는 17일 출석을 통보했습니다. 이들은 현재 참고인 신분입니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 뉴스1
이번 소환 조사는 2023년 6월 카카오모빌리티 등 대기업이 사모펀드를 통해 184억 원을 투자한 아이엠에스(IMS)모빌리티와 관련이 있습니다. 해당 기업은 김건희 여사의 오랜 측근으로 알려진 '집사' 김모 씨가 사내이사로 재직했던 곳입니다.
"최고 의사결정권자 소환... 증거 인멸 우려 있어 신속 조사"
특검팀은 당시 대기업들의 대규모 투자가 김 여사의 영향력 아래 이뤄졌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김씨는 김 여사 일가와 수년간 인연을 맺어온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일각에서는 그를 중심으로 한 '집사게이트' 의혹을 제기해왔습니다.
오정희 특별검사보는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이른바 '집사 게이트' 사건의 실체를 조속히 규명하고 증거 인멸을 방지하기 위해, 사모펀드에 184억 원을 투자한 기관 및 기업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조현상 HS효성 회장 / 뉴스1
특검은 이들 총수들에게 IMS모빌리티에 투자하게 된 배경과 투자 심사 과정, 김 씨와의 접촉 여부, 제3자 로비나 청탁 정황 등을 확인할 방침입니다.
김건희 여사 직접 수사 여부 주목... 정점 향하는 특검 수사
민중기 특별검사는 앞서 김 여사 본인에 대한 직접 수사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입니다. 이번에 소환 통보된 기업인들의 진술과 자료 확보 결과에 따라 김 여사 또는 대통령실 인사들에 대한 소환조사로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검팀은 이와 관련한 강제 수사 전환 여부, 압수수색 일정 등도 내부적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재까지 특검은 김 여사 측과 직간접적 연결 고리가 확인된 펀드 투자 흐름, 기업 간 내역, 통신·계좌 기록 등을 다각도로 분석 중입니다. 수사 대상이 정점으로 향하고 있다는 평가 속에, 향후 소환 조사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김건희 여사 / 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