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
군 장병에게는 정가보다 3천원의 추가 요금을 받아 온 한 숯불갈비 무한리필 고깃집이 지난 13일부터 온라인에서 지탄을 받고 있다.
해당 고깃집 메뉴판에 따르면 성인은 1인당 1만 6900원이지만, 군 장병은 1만 9900원으로 책정돼 있었다.
여기에 더해 군인과 함께 간 손님들까지 '역차별'을 받았다는 호소가 전해졌다.
한 시민은 네이버 지도 식당 리뷰를 통해 "군 가족이든 뭐든 테이블에 군인 1명이라도 있으면 묻지도 않고 무조건 군 장병 가격으로 받는다"라고 주장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그는 "주변에 있어서 지인들에게 추천도 하고 그랬는데 군인만 (돈) 더 받는 것도 좀 그렇고 군인 아닌 가족에게도 더 받는 마인드가 이상해서 이젠 안 가려고 한다"라며 "처음 문 열었을 때랑 다르게 변했다. 가성비는 괜찮지만 기분 나빴다. 비추천한다"라고 덧붙였다.
3천원을 추가로 받는다는 점과 군인 가족 손님을 역차별한다는 이야기가 퍼지자 시민들은 일제히 공격을 가했다.
별점 1점 테러를 가하며 식당 측을 비판했다. "군인을 더 챙겨줘야지, 등쳐먹는 곳은 망해야 한다", "군 장병 차별하냐, 군인을 호구로 보는 식당" 등의 항의성 글이 쇄도했다.
쏟아지는 테러에 결국 해당 식당 업주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입장을 밝혔다.
연합뉴스TV
업주 A씨는 군 장병에게는 3천원을 올려받는 사실 그 자체는 인정했다. A씨는 연합뉴스TV와 인터뷰에서 "저희도 웬만하면 (가격 차등을) 안 하려고 4년 동안 손해 보면서라도 했다. 그런데 군인들은 1인당 한 5인분씩 먹고 가버린다"면서 "올해 들어 고깃값이 많이 올라 어쩔 수가 없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손님 일행 중 군인이 한 명이라도 있으면 군인과 함께 온 모든 손님에게 '군 장병 가격'으로 받았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잘라 말했다.
이어 "어차피 (음식점)적자가 너무 커 이달 중 폐업을 하려고 했다"라며 사실상 올해가 장사 마지막이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TV
한편 과거 강원도 일부 전방 부대의 지역 상인들이 군인들을 상대로 '바가지 영업'을 했던 적이 있다.
평일에만 PC방 가입을 할 수 있게 하고 주말은 막아놓은 뒤 막대한 금액을 받거나, 외박을 나온 군인들에게 '1방 5만원'인 모텔방을 '1인 5만원'씩 받는 경우가 허다했다.
순댓국과 같은 음식도 군인 요금이 따로 있었고, 마크사 같은 경우도 주말에는 특별요금을 더 받거나 카드 결제는 막아 놓는 경우까지 있었다.
사진=인사이트
이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병사들이 고통받지 않도록 육군 측은 '위수지역 폐지'을 폐지하는 조치를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