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봉식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장 / 뉴스1
[인사이트] 강지원 기자 = 우봉식 대한의사협회(의협) 의료정책연구원장이 '소아과 오픈런'과 관련해 "젊은 엄마들이 일찍 소아과 진료를 마치고 브런치를 즐기기 위해 오픈 시간에 몰려들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4일 발간된 의협의 계간 '의료정책포럼'에 우 원장은 '필수의료 위기와 의대 정원'을 주제로 시론을 게재했다.
그는 시론에서 소아과 오픈런 사태를 두고 "저출산으로 소아 인구가 감소하면서 소아과 의원을 유지하기 어려운 것이 근본 원인"이라고 말했다.
4일 공개된 계간 '의료정책포럼'에 담긴 시론 / 의료정책연구원 홈페이지
이어 "게다가 젊은 엄마들이 소아과 진료가 조금이라도 마음에 안들면 맘카페 등에서 악의적 소문을 퍼뜨리면서 동네 소아과가 문을 닫는 경우도 늘어났다"며 "직장생활을 하는 엄마들이 늘어나면서 아침 시간에 환자가 집중되는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러 젊은 엄마들이 일찍 소아과 진료를 마치고 아이들을 영유아원에 보낸 후 친구들과 브런치타임을 즐기기 위해 소아과 오픈 시간에 몰려드는 경우도 있다"며 "'소아과 오픈 때만 런'이지 '낮 시간에는 스톱'이다"라고 주장했다.
해당 발언은 SNS와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의료 체계 문제를 부모에게 돌리는 꼴'이라며 논란이 됐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뉴스1
일부 누리꾼들은 "애가 아픈데 무슨 브런치를 즐기냐", "애 안 키워본 거 티난다", "브런치 같은 소리한다", "문제를 왜 엄마들한테 돌리냐", "출산율이 바닥 치는 이유", "애가 아프면 유치원도 안 받아준다", "어떤 뜻으로 한 말인지 모르겠지만 사과해야 한다", "의사가 한 말이 맞냐", "믿을 곳 하나 없다" "애 간병하느라 한 끼도 못 먹은 적 있다", "애 아픈데 브런치 먹는 엄마가 어딨냐"며 분노했다.
우 원장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의사 수 늘리기'에 대해서도 전면 반박했다.
같은 시론에서 그는 "응급실 뺑뺑이는 과거 우리나라에 응급환자 분류·후송을 담당하는 '1339 응급콜'이 법 개정에 따라 119로 통폐합되면서 생긴 일"이라며 "법 개정 이후 전문성이 없는 소방대원이 응급환자를 대형 병원으로만 보내니 중증 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뺑뺑이'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또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의사 진료 보기가 가장 쉬운 나라"라며 "외래 진료 한 번 하려면 수 주간 대기하는 선진국들과 달리 10분 이내 동네의원에서 전문의 진료를 자유롭게 받을 수 있고 선진국들이 다 겪는 수술 대기도 전혀 없다"고 발언했다.
우 원장은 의대 정원 수요 조사에서 2배 이상 정원을 늘리겠다고 답한 대학들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우리나라는 값싼 전공의를 늘려서 부리고 싶은 각 의과대학 병원이나 다시 오기 힘든 기회니 이번에 정원을 두 배 정도 늘려서 신청하자고 공공연히 말하는 대학 총장들에게 의사 수요 추계 설문조사를 한다고 한다"며 "의대 증원이 향후 보건의료 전반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먼저 제대로 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이다. 서두르는 것이 능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일부 엄마들 사이에서는 병원 예약·접수 모바일 앱 '똑닥'에 대한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우료화된 앱을 이용하지 않고 병원에 갔다가 진료를 받지 못하고 발걸음을 돌렸다는 것이다.
이들은 똑닥 없이는 사실상 소아과 진료를 받기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울며 겨자 먹기로 돈을 내야 하는 게 아니냐고 지적하고 있다. 또 장애인이나 노인 등 취약 집단의 의료 이용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최대한 다양한 사람들의 병원 접근성을 보장해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