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26일(토)

"올해는 놓치지 말고 꼭 소원 비세요"...2023 밤하늘 수놓을 '우주쇼' 일정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2023년 새해 시작과 함께 대기 중인 우주쇼 일정은?


[인사이트] 강유정 기자 = 드디어 계묘년의 새해가 밝았다.


모두에게 올해도 이루고 싶은 것이 참 많은 한 해가 될 것이다.


이런 이들을 위해 2023년에도 소원을 들어줄 우주쇼가 가득하다.


지난달 27일 한국천문연구원은 2023년 밤하늘을 수놓을 천문현상 일정을 공개했다.


인사이트2016년 1월 4일 한국천문연구원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사분의자리 유성우 / 한국천문연구원


2023년 새해 첫 우주쇼는?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새해 첫 우주쇼는 바로 유성우, 즉 별똥별이다.


오는 1월 3일부터 4일까지 하늘에는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사분의자리 유성우가 나타난다.


사분의자리 유성우 관측 최적기는 1월 3일 밤을 넘어 1월 4일 새벽일 것으로 예상되며 극대시간은 1월 4일 오전 5시 40분이다.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은 약 120개라고 한다.


극대시간이 하늘이 밝지 않은 새벽이고 달도 밤새 없기 때문에 관측 조건이 좋은 편이라고 하니 소원을 빌 기회를 놓치지 말길 바란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월별 주목해야 할 천문현상


2월에는 올해 혜성 중 가장 밝은 혜성을 볼 수 있다. 2월 2일 C/2022 E3(ZTF) 혜성이 지구 가장 가까운 곳(근지점)을 지나가는데, 근지점 통과 무렵 천구 북극 근처에 위치해 관측 조건이 매우 좋다고 한다.


3월 24일에는 제주에서만 관측할 수 있는 우주쇼가 있다. 바로 금성 엄폐 현상이다.


이날 제주에서는 오후 9시 14분에 달 오른쪽 밤 지역으로 들어간 금성이 오후 9시 23분 빠져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엄폐 현상이 시작되는 고도가 약 4도, 끝날 때는 2.5도에 불과해 지평선이 완전히 열린 곳에서만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5월 6일에는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반영월식이 일어난다.


이번 반영월식은 오는 5월 6일 오전 12시 12분부터 시작되며, 식의 최대 시간은 2시 22분 54초로 오전 4시 33분에 종료된다.


8월 13일과 14일에는 3대 유성우 중 하나인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를 볼 수 있다.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는 ‘109P/스위프트-터틀(SwiftTuttle)’ 혜성에 의해 우주 공간에 흩뿌려진 먼지 부스러기들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서 일어난다.


올해 페르세우스 유성우 극대시간은 13일 16시 29분이며, 13일 밤부터 14일 새벽까지 꽤 많은 유성을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8월 31일에는 올해 가장 큰 달이 하늘에 뜬다. 지구와 달의 거리가 약 35만 7,300㎞로 평균 거리인 38만 4,400㎞보다 약 2만 7,100㎞ 이상 가깝기 때문이다.


올해 가장 큰 달은 8월 31일 밤부터 9월 1일 새벽까지 볼 수 있다.


8월 31일 달은 서울 기준 오후 7시 29분에 떠서 1일 오전 7시 1분에 진다.


2023년 한가위인 9월 29일 보름달은 서울 기준 이날 오후 6시 23분에 뜬다.


달이 가장 높게 뜨는 시각은 다음날인 30일 오전 12시 37분이며, 오전 7시 2분에 질 것으로 예상된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Unsplash


10월에는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고 있는 우주쇼가 펼쳐진다. 바로 '부분월식'이다.


오는 10월 29일 새벽달이 지구 본그림자에 일부 가려지는 부분월식이 일어나는데, 이날 부분식은 오전 4시 34분 30초에 시작된다.


5시 14분 6초에 달이 최대로 가려지며 오전 5시 53분 36초에 종료된다.


인사이트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Unsplash


2023년 마지막 우주쇼는 '쌍둥이자리 유성우'다.


쌍둥이자리 유성우는 소행성 3200페톤(3200 Phaethon)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부서지고 그 잔해가 남은 지역을 지구가 통과하면서 나타나는 유성우다.


극대시간은 12월 15일 오전 4시이며 시간당 최대 관측 가능한 유성수(ZHR)는 약 120개다.


새벽 시간이기도 하고 밤새 달이 없는 하늘이기 때문에 관측에 좋은 환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 일정을 참고해 2023년에도 아름다운 우주쇼를 감상하며 희망찬 한 해를 보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