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커뮤니티
[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배달 앱 '요기요'와 OTT 서비스 '티빙'이 '허버허버'를 금칙어로 설정하면서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불거졌다.
'남성 혐오 표현이 맞다'는 남초 커뮤니티의 주장과 '그런 의미가 아닌데 너무 과도하게 제재하는 것 같다'는 여초 커뮤니티의 상반된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앞서 지난 28일 누리꾼 A씨는 트위터에 '허버허버'라는 단어 때문에 요기요 리뷰 등록이 거절됐다며 고객센터에 관련 내용을 문의한 사연을 공개했다.
그가 공유한 요기요 측과 나눈 대화 메시지 내용에 따르면 A씨는 "리뷰를 쓰다가 허버허버라는 단어 사용으로 인해 막힌 상태라서 의문이 들어 메시지 남긴다. 허버허버는 '급하게'라는 뜻인데 대체 왜 리뷰 등록이 안 되는 거냐"고 문의했다.
Twitter
이에 요기요 측은 "혹시 어떤 의미로 사용하시는 거냐"고 물었고 A씨는 '허버허버'(hubba-hubba)의 영어 사전 결과를 보냈다. 영어사전에 따르면 '허버허버'는 좋아 좋아, 빨리빨리, 급히, 즉시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요기요' 측은 "확인해 보니 해당 단어는 남성이 밥을 급하게 먹는 모습을 나타내고 일제강점기 징용 피해자를 떠올리게 하는 비하 표현으로 주장돼 금지 단어로 자동으로 걸러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단어 관련해서는 포털사이트 같은 곳에 검색을 해보시면 확인하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요기요에 이어 티빙도 '허버허버'를 금칙어로 지정했다"라는 내용의 글이 확산하기도 했다. 해당 게시글에 따르면 티빙에 '허버허버'라는 단어를 사용하자 '금칙어가 포함되어 있다'는 알림이 떴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처럼 대형 플랫폼 기업들이 '허버허버' 단어를 금칙어로 설정한 것이 알려지자 남초 여초 성향 커뮤니티 간엔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여초 커뮤니티 누리꾼들은 "어이가 없다", "일제강점기가 여기서 왜 나오냐", "덕분에 탈퇴했다", "적당히 억지 부려라", "배민으로 갈아타야겠다", "이게 왜 비하용어인지 모르겠다" 등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일부에서는 '허버허버'를 남성 혐오 단어로 인정할 수 없다며 요기요 탈퇴 인증글을 올리기도 했다.
반면 남초 커뮤니티 누리꾼들은 "옳은 결정이다", "남혐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는 거 맞지 않냐", "잘 됐다", "금칙어 지정에 문제가 없다", "저걸 쓸 이유가 뭐가 있냐"라는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번 논란에 대해 요기요 측은 "리뷰 사용 제한 단어는 기본적으로 고객들의 리뷰 신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적 논란이 있을 수 있는 단어에 대해서 차단하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