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사진=인사이트
[인사이트] 조소현 기자 =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와 경기 부천 대장지구를 지하철로 연결하는 '대장홍대선' 사업이 확정됐다.
이 노선이 개통되면 버스로 51분 걸리던 부천 대장에서 홍대까지 이동시간이 21분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7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최근 대장홍대선 사업에 정부예산 4,400억원을 투입하는 방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지난달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한 지 한 달 만에 국비 지원까지 확정돼 사업은 급물살을 타게 될 전망이다.
'민자적격성 조사'란 민간제안 사업에 대해 수요 추정의 적정성을 분석하고, 재정사업으로 추진할 경우 비용과 편익 등을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이어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에 3자 제안공고를 내고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대장홍대선은 부천 대장지구에서 원종, 서울 강서구 화곡동, 상암, 홍대입구까지 18.4㎞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총 사업비는 1조 8,689억원으로 지난 2016년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됐지만 사업성 등의 문제로 지지부진했다.
하지만 올해 초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이 노선을 'BTO(수익형 민간투자)·BTL(임대형 민간투자) 혼합 모델'로 건설하는 내용을 제안하면서 사업이 본격화됐다.
대장홍대선은 서울 도심을 지나지는 않지만 현재 계획된 10개 역 중 6개가 환승역이다. 특히 2호선, 9호선과 환승할 수 있어 강남쪽 접근성이 개선된다.
또한 대장홍대선이 도입되면 대장지구에서 서울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대장~여의도의 경우 기존 36분에서 22분으로, 대장~서울역은 59분에서 31분으로 대중교통 이동시간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업계에서는 이르면 2023년 말쯤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공사 기간(60개월)을 감안하면 2028년쯤 개통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부천도시공사 관계자는 "대장홍대선이 개통되면 대장지구의 교통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