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조세진 기자 = 직장인들의 월급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하고 있는 가운데,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회사에서는 월급 받는 만큼만 일하면 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14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3,293명을 대상으로 '회사 업무와 월급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회사에서는 딱 월급 받는 만큼만 일하면 된다'는 말에 응답자의 70.0%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월급에 대한 가치관은 세대별로 인식 격차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20대(78.5%), 30대(77.1%)가 월급만큼 일하면 된다고 생각한 것과 달리 40대(59.2%)와 50대(40.1%)는 오히려 '월급 이상의 성과를 보여야 한다'는 가치관이 남아있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대부분 월급의 의미를 '노동의 대가'(63.3%, 복수응답)라고 답했고, '생계수단'(51.6%),' 가족 및 가정 유지 비용'(31.2%)이라는 답변도 많았다.
'미래 준비를 위한 경제 동력'이라는 응답은 28%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대다수(77.1%)는 본인의 급여에 만족하지 않고 있었으며 절반 이상(54.1%)은 자산 투자 활동을 하고 있었다.
투자 활동으로는 '주식'(76.1%, 복수 응답)이 1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예·적금 등 목돈 저축'(63.8%), '가상화폐'(21.6%), '펀드 채권'(19.7%), '부동산'(11%) 등의 순이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투자 활동을 하는 이유로는 '투자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어서'(43.8%, 복수 응답), '월급만으로 생계유지할 수 없어서'(40.9%)였다. 이어 '내 집 마련, 결혼 등을 준비하기 위해서'(35.9%),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지 몰라서'(32.7%)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월급이 정당한 노동의 대가로 교환되지 않는다는 인식은 전반적으로 강했는데, 전체 직장인의 61.4%는 '열심히 일한 만큼 월급이 오르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또 '회사는 늘 월급보다 높은 성과를 요구한다'(89.7%)고 생각했다.
사람인 관계자는 "젊은 세대는 각종 수행평가, 시험 등을 통해 자신이 노력한 만큼 성과와 보상을 받는다고 생각하는 반면 기성세대는 열심히 일해 회사가 성장함으로써 개인 자산을 축적했다는 경험이 있다"며 "기업들은 이 같은 배경에 대한 이해와 성과 보상에 대해 폭넓고 신중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