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고의적 교통사고를 적발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보험금을 노리고 고의로 교통사고를 내는 범죄를 잡아내기가 더 쉬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12일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는 3년간의 연구, 개발 끝에 '운전자 사고유발 고의성 입증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이를 위해 10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위험 상황에서의 운전자의 시선, 조향, 제동 반응 등을 연구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뉴스1
또 20~40대 남녀 운전자로 구성된 실험을 통해 중앙선 침범과 무단횡단, 차량 끼어들기 등의 상황을 두고 운전자의 대응을 조사했다.
이외에도 눈동자의 움직임을 체크하는 '아이 트래커'를 통해 시야각도를 측정하는 등 다각도의 반응을 측정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7월 SCI급 국제 학술지에 게재되며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국과수는 고의로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들의 범행 유형, 장소, 시간 등의 패턴을 분석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프로파일링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자동차 사고기록장치 분석, 운전자 행동분석 시뮬레이션 등을 보강해 고의성 입증 체계도 보강했다.
그 결과 2017년 93건에 그쳤던 고의 교통사고 감정 의뢰 건수는 올해 11월 기준 1천 196건으로 늘었다.
박남규 국과수 원장은 "다각적인 분석 시스템을 통해 과거에는 판단할 수 없었던 고의성 입증이 현재는 가능하게 됐다"면서 "다수의 보험사기 적발에 그 효과가 입증돼 고의 교통사고 감정 의뢰가 매년 급증하는 추세"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