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인사이트] 유진선 기자 = 정부가 북한 관련 가짜뉴스 모니터링 사업 예산에 2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북한 관련 정보가 폐쇄된 상황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사망설, 김여정 노동장 부부장의 쿠데타설 등 가짜뉴스가 유포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지난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한 2022년도 통일부 예산은 총 1조 523억원 규모다.
이 가운데 눈길을 끄는 건 2억 원이 편성된 '가짜뉴스 모니터링' 사업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GettyimagesKorea
가짜뉴스 모니터링 사업은 유튜브 등을 통해 유통되는 북한 관련 왜곡, 조작 정보를 걸러내는 사업이다.
해당 사업에 예산이 편성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한 관련 가짜 정보가 유튜브 등 뉴미디어를 통해 한번 유통되면 증권가 등 파장이 크다"며 "북한 연구전문기관에 위탁해 손길이 잘 가지 않는 분야의 북한 관련 가짜뉴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경우 대응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 뉴스1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 지원(311억원), 비무장지대 평화의 길 인프라 정비(64억원) 등도 내년도 신규 사업으로 편성됐다.
다만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예산은 올해 대비 2.7% 감소한 952억원으로 편성됐다.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탈북민 입국 규모가 감소한 점이 고려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