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인사이트] 함철민 기자 = 인천에서 발생한 흉기 난동 사건과 관련해 경찰의 대응이 부실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경찰관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블라인드 글이 누리꾼들의 시선을 끌었다.
지난 22일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는 '여경사건 개인적 견해'라는 제목으로 A씨의 글이 올라왔다.
블라인드는 본인 회사 메일로 본인인증을 해야하고, 인증을 하면 소속 회사가 공개된다. A씨는 '경찰청'으로 소개돼 있어 현직 경찰관일 것으로 추정된다.
A씨는 "경찰이라는 직업 자체가 법률의 테두리 안에서 이뤄지는 '직장인'"이라고 했다.
블라인드
이어 "사명감 물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사명감 같은 추상적인 언어가 현실의 벽 앞에 부딪혀 본 경찰들만 공감하지 일반 시민들은 전혀 공감 못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칼을 들었다는 신고에 경찰은 얼마나 많이 출동해 봤을까? 절대 그 현장을 보기 전까지는 아무도 그 상황을 알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법률은 총을 쓰지 못하게 돼 있다. 그래서 맞지도 않는 테이저건이랑 삼단봉만 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A씨는 인천 흉기 난동 사건 경찰관의 대응에 대해 "빌라 구조가 어떻게 돼 있는지는 모르지만 좁은 공간에서 칼을 든 두려움은 어마어마할 것"이라고 했다.
블라인드
그는 "영화에서처럼 총을 든다고 칼 든 피의자가 순순히 두 손을 들고 일어날 것 같나. 실제로는 총을 보고 더 흥분한 피의자가 칼로 무슨 짓을 할지 모른다"고 설명했다.
또한 "현장을 직접 경험한 당사자가 아니고서야 그 위급함을 설명할 순 없다"며 "이번 사건을 비난하는 건 자유지만 그렇게 깎아내리는 곳에 힘쓰기보다 앞으로 이러한 일이 벌이지지 않도록 공력력이 약한 것에 힘을 더 싣도록 도와줬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일부 누리꾼들은 A씨의 주장에 비판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시민의 안전보다 자기 안위가 우선이면 다른 직장을 구했어야 했다", "자기 집에 출동한 소방관이 무섭다고 도망쳐도 이해해 줄 거냐?", "직장인은 자기 일에 사명감 없이 일하는 줄 아나?"라고 했다.
기사와 관련 없는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같은 경찰청 소속 누리꾼들도 그가 글을 쓴 취지는 이해한다면서도 이번 사건은 명백한 과오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5일 오후 인천 남동구의 한 빌라에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으로 주민 한 명이 피의자가 휘두른 흉기에 다치는 사건이 발생했다.
당시 현장에는 여자 경찰이 함께 있었지만, 해당 경찰은 피의자를 제압하는 대신 남경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1층으로 내려간 것으로 알려져 부실 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피의자의 흉기에 크게 다친 피해자는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으나 의식불명인 것으로 전해졌다.